2024-04-25 15:40 (목)
중국구석구석탐색(58)강희제가 머문 대소사
중국구석구석탐색(58)강희제가 머문 대소사
  • 홍원선 이코노텔링 대기자(중국사회과학원박사ㆍ중국민족학)
  • wshong2003@hotmail.com
  • 승인 2019.10.02 13:3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티벳 불교에서 가장 센 '겔룩파' 사원… 강희제가 들러 '活佛'은 없어
은으로 봉안된 불상 좌우에 달라이 3,4세의 동상 서있고 벽화 생동감
후허하오트 시내에서 가장 중심되는 불교사찰인 대소사. 한어로 대소사는 이곳 말고 아주 유명한 사찰이 또 있다. 바로 티벳 라싸에 있는 대소사 ( 조캉사원 )다. 한자 召는 티벳어로 寺廟의 의미라고 한다. 아주 큰 절이라는 의미가 될 것이다. 원래 절 이름은 弘慈사였으나 후일 無量사로 바뀌었고 절 안에 은으로 만든 불상이 봉안되어 있어 銀佛사로 부르기도 한다. 지금 산문의 편액에는 무량사로 적혀 있다.
후허하오트 시내에서 가장 중심되는 불교사찰인 대소사. 한어로 대소사는 이곳 말고 아주 유명한 사찰이 또 있다. 바로 티벳 라싸에 있는 대소사 ( 조캉사원 )다. 한자 召는 티벳어로 寺廟의 의미라고 한다. 아주 큰 절이라는 의미가 될 것이다. 원래 절 이름은 弘慈사였으나 후일 無量사로 바뀌었고 절 안에 은으로 만든 불상이 봉안되어 있어 銀佛사로 부르기도 한다. 지금 산문의 편액에는 무량사로 적혀 있다.

아침에 일단 역으로 가서 후룬베이얼로 가는 기차편이 있는지, 차표를 구할 수 있는지 알아봤으나 기차표는 열흘 후까지 모두 매진되고 구할 수 없어 여정을 바꾸기로 결정하다. 밖에는 비가 내린다. 비도 피하고 늦은 아침도 먹을 겸해서 호텔 부근의 중국식 패스트푸드점에 들러 훈둔과 빠오즈 (고기만두) 두 개 그리고 작은 채소 반찬 2가지를 시켰다. 21위안이다. 식사후 중심가인 중산제( 中山街)로 이동하여 이 거리 초입에 입지해 있는 맥도날드점으로 가서 드립이 아닌 아메리카노 한잔(17위안)을 주문했다. 머그잔에 부어준 커피를 오전 시간 고객이 드문 시간에 넓은 매장을 거의 독점하면서 여유롭게 한잔 마시니 여독도 좀 풀리고 기분이 좋아진다. 피곤하고 나른할 때 커피의 특유한 약효가 있다고 느껴진다. 커피를 마신 후 중심거리인 이곳의 췌차오 호텔이 대폭적인 바겐세일을 한다는 현수막을 보고 방이 마음에 들어 묵고 있던 소군호텔에서 나와 이 호텔로 짐을 옮겼다.

대소사의 티벳불탑 8좌. 좌우에서 보듯 티벳불탑모양으로 은백색의 돌로 모두 8좌의 불탑이 아름답게 축조되었다
대소사의 티벳불탑 8좌. 좌우에서 보듯 티벳불탑모양으로 은백색의 돌로 모두 8좌의 불탑이 아름답게 축조되었다

여행을 다니면서 중간에 시가지를 탐색하면서 값이 싸고 좋은 호텔이 눈에 띄면 일정을 중단하고 방을 옮기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오늘도 방을 바꾸게 되었다. 깨끗하면서도 환한 두꺼운 양탄자가 바닥에 깔려있고 침대며 테이블 기타 집기도 완전히 순백색이어서 아주 깔끔하고 고급스런 느낌을 준다. 세면대와 샤워부스도 완전히 유리로 내외가 차단되어 있고 수압도 좋았다. 방을 옮긴 후에도 여전히 비가 내려 방에서 1시간여 휴식을 취하자 하늘이 맑아 온다.

날이 갠 후 밖으로 나섰다. 어제 산책했던 회민가 반대편으로는 발길을 옮기니 멀리 몽골풍의 건물군들이 한가득 눈에 들어온다. 저절로 발길이 이곳으로 이어진다. 10분 정도 걸었더니 거대한 규모의 전통건축물 외관인 기와지붕 건물 수십 채가 뚜렷이 보였다. 도로 양켠으로 한 곳은 大召사이고 건너편은 연수사였다.

대소사의 불전. 중국의 사원에서 황금색을 사용하는 사찰은 황실과 특별한 인연을 갖고 있다. 모든 절이 마음대로 황금색을 사용한 것이 아니고 사용해서도 안된다. 왜냐하면 황금색은 황제의 색이므로. 이 대소사도 청조 초기 순치제와 강희제가 머물다 간 사연이 있는 사찰이다.
대소사의 불전. 중국의 사원에서 황금색을 사용하는 사찰은 황실과 특별한 인연을 갖고 있다. 모든 절이 마음대로 황금색을 사용한 것이 아니고 사용해서도 안된다. 왜냐하면 황금색은 황제의 색이므로. 이 대소사도 청조 초기 순치제와 강희제가 머물다 간 사연이 있는 사찰이다.

원래 대소사는 시장자치구 라싸에 있는 유명한 티벳불교사찰이 아니던가? 오전에 많은 비가 와서인지 낮인데도 아주 시원한 느낌이 들고 이곳 절이 더할 수 없이 편안한 느낌이 들게 한다. 이 사찰은 티벳불교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최대 종파인 겔룩파의 사원으로 한자 召는 티벳어로 寺廟의 의미라고 한다. 원래 이절의 이름은 弘慈寺였으나 후일 無量寺로 바뀌었고 절 안에 은으로 만들어진 불상이 봉안되어 있어 銀佛寺로 부르기도 한다.

대소사는 후허하오트에서 가장 오랜 티벳불교사원일 뿐 아니라 이곳에는 활불이 주재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청조시기 강희제가 이곳을 참관하고 며칠간 머문 적이 있는데 이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승려들이 활불의 전세규정을 취소했다고 자료는 설명하고 있다. 대소사의 대지면적은 3만여평방미터에 건축면적만 8천여평방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사찰이고, 주요건축으로는 산문, 천왕전, 보리과전, 구간루, 경당, 불전 등이 있다. 이 가운데 경당과 불전은 함께 연이어있고 보통 ‘대전’이라고 부른다.

불상을 모셔둔 불전에 아마도 관제가 아닐까 싶은 인물상이 불단 아래에 모셔져 있다. 그리고 옆에는 시주함이 보인다. 중국인의 종교행태가 아주 뚜렷하게 보이는 공간배치이자 구도이다. 보통 중생들이 부처님에게 고통과 어려움을 호소하면 부처님은 그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믿는 것이 소박한 불교관이 아닐까? ‘有求必應’( 구하면 반드시 주신다 ). 흔히 많은 사원에서 보는 글귀가 그렇고 불교 아닌 다른 종교에서도 이는 마찬가지일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복을 비는 게 중국인의 가장 바탕에 깔려 있는 종교관이고 복 가운데 가장 명확한 것이 돈이 아닐는지? 이런 각도에서 보면 신성한 불당에 재물의 신, 재신으로 일컬어지는 관제상이 놓여있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 같다.
불상을 모셔둔 불전에 아마도 관제가 아닐까 싶은 인물상이 불단 아래에 모셔져 있다. 그리고 옆에는 시주함이 보인다. 중국인의 종교행태가 아주 뚜렷하게 보이는 공간배치이자 구도이다. 보통 중생들이 부처님에게 고통과 어려움을 호소하면 부처님은 그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믿는 것이 소박한 불교관이 아닐까? ‘有求必應’( 구하면 반드시 주신다 ). 흔히 많은 사원에서 보는 글귀가 그렇고 불교 아닌 다른 종교에서도 이는 마찬가지일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복을 비는 게 중국인의 가장 바탕에 깔려 있는 종교관이고 복 가운데 가장 명확한 것이 돈이 아닐는지? 이런 각도에서 보면 신성한 불당에 재물의 신, 재신으로 일컬어지는 관제상이 놓여있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 같다.

대전은 유일하게 漢藏건축양식이 혼합된 티벳불교사원 양식을 보여주고 있고, 불당의 정중앙에 한 좌의 높이 2.55m의 은불상이 모셔져 있어 이 절을 무량사에 이어 은불사라고도 부르게 됐다는 것이다. 銀佛의 좌우에는 각각 겔룩파(황교파) 티벳불교를 개창한 총갓파대사와 달라이 3,4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이와 함께 대전 내에는 각종 조상과 벽화가 그려져 있고 은불상은 4백여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완전한 형태로 보존되고 있다.

이 사원은 청조 초기 순치제가 달라이라마 5세를 만나고 북경으로 돌아가는 길에 며칠 머문 적도 있고, 강희제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皇帝萬歲”란 편액이 걸려있어 이 절은 皇廟라는 별칭도 갖고 있다. 최고권력자인 황제와 관련이 있는 사찰인 만큼 중요성이 크고 규모나 사찰 내의 시설물도 여느 절과는 다르다. 석가모니상 앞의 기둥에는 금빛 목각의 거대한 용이 나무기둥을 기어오르는 모습이 조각되어 있어 황실과의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다.

벽화는 대소사의 큰 특징 가운데 하나로 벽화의 내용이 아주 풍부하고 화면에 생동감이 넘친다. 불교에 등장하는 각종 인물 중심으로 천상의 세계와 인간, 지옥의 각종 모습을 보여준다. 이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불타와 外道六師가 벌이는 경전에 대한 논쟁과 다툼을 소재로 한 것으로 많은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전체 벽화는 서로 이어져 있고 등장하는 캐릭터는 神佛과 범속의 인간 등 모두 770여에 이르고 그 장면이 웅대하고 스케일이 거대해 장관을 이룬다. 명왕조 시기 중국 회화예술의 집대성이라 할 만한 이 벽화는 지금까지 여전히 그 화려한 색감이 조금도 퇴색하지 않고 빛나고 있다.

이밖에 대소사 산문의 처마 밑에 “九邊第一泉 ”이란 편액이 걸려있다. 즉 이것은 대소사 앞의 玉泉井을 일컫는 것으로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청조의 강희제가 몽골 웨이라트부 갈단의 난을 평정한 후 개선하는 도중 대소사를 들러 말발굽이 땅을 치자 샘이 용출했다는 것이다. 비문에 샘물은 맑고 달다고 기록되어 있다.

티벳사원 내부의 승려들이 학습하고 기도하는 공간의 모습.
티벳사원 내부의 승려들이 학습하고 기도하는 공간의 모습.

몽골족이 신앙하는 불교는 바로 티벳불교로, 이 사찰의 공간배치나 불전 내에 존봉되고 있는 부처와 보살 그리고 나한도 주로 티벳불교의 영향으로 구성된 티벳불교사원이다. 청조는 대륙 통치의 방책상 티벳과 몽골 등에 종교적인 우대책을 시행하면서 한족 주변에 거주하는 이들 민족을 활용하여 한족을 견제하는 정책을 구사해왔다.

사찰 곳곳에 그려진 탕카와 이른바 환희불의 모습은 다소 관능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악마의 악행을 잠재우기 위해 관음보살이 미녀로 환신, 환희불의 모습으로 마왕의 일탈을 견제한다는 교접의 모습은 신성한 절에서 묘한 에로티시즘을 불러일으킨다. 한 전각에는 보살의 모습일텐데 수십여 불상이 여성의 관능적인 모습으로 젖을 드러내고 있다. 이제껏 불상은 남성상으로 인식해왔고 설사 여성상의 불상이라도 옷을 입은 모습이었는데 이곳의 불상은 한쪽 가슴을 드러내고 있어 좀 특별한 불상이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사찰의 벽체에는 주요 티벳불교의 교리와 불사에 대해 설명하는 문장이 가득하다. 읽어보니 티벳불교 교리가 정리가 잘 되어있고 초신자나 티벳불교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 아주 유용하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정수 2019-10-08 12:56:20
종교와 정치를 함께 설명해주시니 더욱 이해가 쏙쏙됩니다, 감사합니다~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29번지 (서울빌딩)
  • 대표전화 : 02-501-638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재열
  • 발행처 법인명 : 한국社史전략연구소
  • 제호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 등록번호 : 서울 아 05334
  • 등록일 : 2018-07-31
  • 발행·편집인 : 김승희
  • 발행일 : 2018-10-15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이코노텔링(econotelling).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unheelife2@naver.com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재열 02-501-6388 kpb11@hanmail.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