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셋값이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전세 계약 중 살던 집에 계속 거주하는 갱신계약이 많아진 데다 그전보다 전세보증금을 인상하는 '증액 갱신' 비중도 커졌다.
부동산 정보 포털업체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해 22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7일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세 계약 3만6247건 가운데 갱신계약이 1만2604건으로 전체의 35%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갱신계약 비중 27%보다 8%포인트 높은 것이다.
서울 아파트의 전세의 월간 갱신계약 비중은 지난해 25∼29%로 30%를 밑돌았다. 올해 들어 1월 31%, 2월 39%, 3월 35%, 4월 36%로 30%를 넘어섰다. 아파트 전셋값이 상승하자 기존 세입자들이 새로운 전셋집으로 갈아타기보다 기존 전셋집에 계속 머무는 것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6월부터 올해 3월까지 10개월 연속 올랐다.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 줄면서 전세 매물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전셋값이 오르자 갱신계약 중 전세보증금을 기존 계약보다 올린 증액갱신 비중도 지난해보다 상승했다. 올해 체결된 서울 아파트 전세 갱신계약 1만2604건 가운데 보증금을 올린 계약은 7154건으로 전체의 57%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46%)보다 11%포인트 높다.
전세보증금을 낮춘 계약 비중은 지난해 41%에서 올해 29%로 낮아졌고, 보증금을 동결한 계약은 15%로 지난해(14%)와 비슷했다.
전세보증금 증액 갱신 비중은 2022년까지만 해도 90%에 달했다. 2022년 하반기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전셋값이 떨어지면서 40%대로 내려갔다. 지난해 하반기에 상승세로 돌아선 전셋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자 증액 갱신 비중이 지난해 11월 50%, 12월 52%, 올해 1월 54%, 2∼4월 58%로 다시 높아졌다.
지역별로 보면 종로구(71%), 서대문구(68%), 마포구(65%), 영등포구(63%), 양천구(62%) 등지 아파트 전세의 증액 갱신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