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 출시 이후 이용자의 4%는 평소 타던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으로 옮겨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중교통을 월 20회 이상 이용했다.
기후동행카드는 올해 1월 27일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4월 5일 누적 판매 100만장을 돌파했다.
서울시가 티머니에 의뢰해 기후동행카드 이용자 2823명을 대상으로 3월 8∼11일 설문조사해 15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4%(127명)가 '상시 이용하던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많이(월 20회 이상) 이용했다'고 응답했다.
승용차를 보유한 시민은 전체 응답자의 56.2%(1586명)였다. 이 중 14.5%(230명)는 평일 출·퇴근에 승용차를 운전하는 상시 이용자였다. 이들 승용차 상시 이용자 중 97.8%(225명)는 기후동행카드 구매 후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승용차 상시 이용자만 놓고 보면 56.4%(127명)가 월 20회 이상 승용차가 아닌 대중교통을 이용했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사용자가 하루 평균 50만명임을 감안할 때 4%에 해당하는 약 2만명이 월 20회 이상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하루 평균 2만명이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했다면 승용차 운행량이 하루 1만1000대 정도 줄었을 것으로 추산된다. 승용차 한 대의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이 1.96t임을 감안하면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두 달 만에 3600t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셈이라고 서울시는 덧붙였다.
기후동행카드 사용으로 절감한 교통비는 1인당 월평균 약 3만원으로 분석됐다. 연령대별로 20대 2만9000원, 30대 2만7000원, 40대 2만8000원, 50대 3만1000원, 60대 3만5000원이었다. 2월 26일부터 만 19∼34세 청년은 월 7000원 추가 할인이 적용돼 청년층의 3월 이후 교통비 절감 효과는 더 크다고 서울시가 밝혔다.
기후동행카드 구매 연령대는 20대가 전체의 29%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 28%, 40대 15%, 50대 18%, 60대 9%의 순서였다. 하루 평균 이용 횟수는 3.4회로 일반 교통카드(2.5회)보다 0.9회 많았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와 문화·공원시설의 입장료 할인 연계를 비롯해 관광객을 위한 단기권 도입, 인접 지자체로의 서비스 범위 확대 등 서비스 개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