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연 3.50%로 묶고 통화긴축 기조를 유지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2일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연 3.50%)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2월 이후 10차례 연속 동결이다.
이 같은 금통위 결정은 소비자물가가 2월(3.1%)과 3월(3.1%) 두 달 연속 3%대를 기록하는 등 물가상승 압박이 강하고, 가계부채·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경제성장 등 상충적 요소들이 모두 불안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국제유가가 중동정세 불안으로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하는 데다 미국이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하 시기가 하반기로 늦춰지고 인하폭도 적을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달러화 강세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물가불안 요인이 커지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한은의 금리인하 시기도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 시기에 맞춰 하반기로 늦춰질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금통위는 회의 의결문에서 "물가상승률이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높은 수준이고 주요국 통화정책과 환율 변동성, 지정학적 리스크(위험) 전개 양상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도 여전히 큰 만큼 긴축 기조를 유지하고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밝혔다.
금통위는 특히 물가와 관련해 "소비자물가 전망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 수준(2%)에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며 "이런(수렴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경기에 대해서는 "앞으로 국내 경제의 경우 소비 회복세가 완만한 가운데 IT(정보기술) 경기 호조 등에 힘입어 수출 증가세가 예상보다 확대돼 올해 성장률이 2월 전망치(2.1%)에 부합하거나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며 "향후 성장 경로는 주요국의 통화정책, IT 경기 개선 속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구조조정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