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를 기준으로 수출 비중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관찰 대상국 61개국 중 8위로 중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총액 기준으론 전 세계 130여 개국 중 6위(2017년)였다. 이에 따라 부가가치 높은 수출을 늘리려면 원천기술 확보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결과는 서울대 김종섭·이승호 교수와 한국은행 음지현 부연구위원이 함께 연구해 15일 발표한 BOK경제연구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방식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 산업별 분석'(2000∼2011년)에서 나왔다. 부가가치 기준 수출은 총액 수출과는 다른 개념으로, 특정 수출품에 기여도가 클수록, 즉 핵심 기술을 보유할수록 커지는 특징이 있다. 또 전체 제조업의 경우 '글로벌 가치사슬'(GVC) 전방 참여도가 높을수록 부가가치가 커진다.
글로벌 가치사슬은 제품 설계, 부품과 원재료 조달, 생산,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 각 과정이 다수 국가에 걸쳐 이뤄지는 분업체계를 말한다.
전방 참여도는 이 같은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제품 설계, 부품 조달 등 그 전 단계에 참여하는 활동을 뜻한다. 후방 참여도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뒷 단계다. 생산, 유통 판매 등에 참여하는 과정이다. 자동차와 같은 운송장비 제조업의 경우 전방 참여도가 높을수록 부가가치 기준 수출 비중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운송장비 제조업 수출 순위에선 6위, 전기 및 광학기기는 5위에 올랐다.
이 보고서는 "매출이 커도 영업이익이 낮으면 경영효율이 낮은 것처럼 수출 총액보다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수출이 더 의미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