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장규 회장"데이터는 산업의 쌀", 손경식" 공정거래법 개정에 기업 걱정"

청와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대기업·중견기업인 간 대화는 격식을 파괴해 비교적 자유스러운 분위기속에서 진행됐다. 15일 오후에 열린 이날 대화에서 일부 기업인들은 기업규제의 혁파를 강하게 주문했고 문 대통령은 이를 경청하며 지원 의사를 밝혔다. 특히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청와대와 정부측 참석자들을 향해 "불편한 얘기가 있더라도 경청해주시길 부탁한다"며 대화의 물꼬를 트자 참석 기업인들은 준비한 건의사항을 쏟아냈다.
황창규 KT회장은 "4차 산업혁명에서 데이터는 '쌀'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개인정보 보호 규제를 풀면 나라 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종태 퍼시스 회장은 "기업이 규제를 왜 풀어야 하는지 호소하고 입증하는 방식보다는 공무원이 규제를 왜 유지해야 하는지 입증하게 하고 이에 실패하면 규제를 자동 폐지하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이런 건의에 대해 문 대통령은 "규제 샌드박스가 실현되면 제한적으로 규제를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꾸는 실험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 경과를 봐서 최대한 규제 체계를 바꾸는 데 노력하겠다"고 답하자 대화의 분위기가 한껏 고조됐다는 후문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감사원의 협조를 구해 법과 규정만을 따지는 ‘소극적 행정’을 개선하도록 하겠다고 말하자 박수가 나왔다.
최태원 SK 회장은 혁신성장 조건으로 ‘실패에 대한 용납’을 거론했고 손경식 CJ 회장은 “공정거래법 개정안에 일부 기업이 우려하는 대목이 있다"며 "기업이 투자애 매진하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실패를 용인할 수 있어야 한다'는 (최 회장) 말씀은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실패할 수도 있는 과제에 과감하게 연구·개발 자금을 배분하는 등 실패를 성과로 인정할 수 있는 부분에 부처가 관심을 가져달라"고 참석한 각료들에게 주문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저희가 자만하지 않았나 하는 성찰도 필요할 것 같다"며 "설비·기술·투자 등에 더 노력해 내년에 이런 자리가 마련되면 당당하게 성과를 얘기하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특히 그는 한민국 1등 대기업으로서 작년에 숙제라고 말씀드린 '일자리 3년간 4만 명 확보계획'은 꼭 지키겠다"며 "단순히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게 중요하고 그것이 기업의 의무"라고 덧붙였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수석부회장은 "중소 협력업체와의 상생도 중요하다"면서 "우리 회사도 협력사들에 1조7천억 원을 지원해 협력사와의 ‘공존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