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업체 수급다변화에 중국·유럽 선전…한국의 위상에 도전
한국과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유럽이 대대적인 반격에 나섰다. 국내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제자리걸음이고,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소송을 벌이는 동안 중국에 이어 유럽도 공격적 투자에 나서 한국 업체의 입지가 위협받고 있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독일 경제부는 최근 유럽연합(EU) 국가들이 두 번째 유럽 배터리 생산 컨소시엄 구성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 자동차 산업의 가치사슬을 확고히 하기 위해 10억 유로(약 1조3천억원)를 지원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외신들은 "전기차 배터리 공급을 독점하고 있는 아시아 업체들과 경쟁할 유럽 배터리 업체를 물색하는 BMW 등 독일 업체들이 이 컨소시엄에 참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유럽 자동차 업체들이 기존 내연기관차 대신 전기차 중심으로 역내 자동차 산업의 공급망을 재정비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월에도 독일과 프랑스가 공동으로 배터리 제조 컨소시엄을 설립, 약 60억 유로(약 7조8천억원)를 투자해 전기차용 배터리를 생산한다고 발표했다. 컨소시엄에는 민간 부문에서 40억 유로, EU 승인에 따른 국고 지원금 12억 유로 등을 투입할 예정이다.
유럽 기업 간 협력도 본격화하고 있다. 독일 폴크스바겐은 지난 8일 스웨덴 배터리 업체인 노스볼트와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하는 공장을 짓기 위한 합작사를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폴크스바겐이 노스볼트에 9억 유로를 투자하며 연간 생산능력은 16GWh 규모다. 합작사는 내년부터 독일 중북부 잘츠기터에 공장 설립 공사를 시작해 이르면 2023년 말부터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이다.
폴크스바겐은 앞서 2028년까지 70종의 새 전기차 모델, 2200만대를 생산하기 위해 2023년까지 300억 유로 이상 투자한다는 로드맵을 밝혔다. 폴크스바겐은 기존에 LG화학 등으로부터 배터리를 공급받고 있었고, SK이노베이션과는 합작사 설립을 논의하고 있었다. 그러나 합작사 설립 논의 후발 주자인 노스볼트와 협업을 먼저 공식화했다.
이처럼 한국과 중국이 주도하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유럽이 뒤따라 잡으려는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유럽은 기존 자동차 시장에서는 강국이지만, 전기차 시장에서는 점유율이 4%에 그친다.
앞서 EU는 지난 2017년 '유럽 배터리 연합'을 출범시키기도 했다. 또한 급팽창하는 전기차 시장에서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공급처를 다변화하는 것이 완성차 업체들의 전략이다.
이런 추세는 국내 배터리 업계에는 악재다. 유럽 국가와 업체들끼리 공조를 강화할수록 기존 배터리 공급자였던 국내 업체들의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다.
중국도 만만치 않다. 최근 수년간 중국 정부는 자국 내 전기차에 외국산 배터리 사용을 금지하고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했었다. 그러나 최근 중국 정부가 보조금을 삭감해 전기차 수요가 감소하자 CATL, 비야디(BYD), 궈시안 등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려 공격적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