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이차전지 등 우리나라 6대 첨단산업의 수출시장 점유율이 최근 4년 동안 25.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22일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 발표에 따르면 2018년~2022년 4년 동안 우리나라 6대 국가 첨단전략산업의 수출시장 점유율이 많이 후퇴(△25.5%)해 경쟁국들과 순위가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이하 '6대 산업')이란 정부가 지난해 3월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발표한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을 통해 언급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미래차 △바이오 △로봇 등을 가리킨다.
경총은 우리나라 6대 산업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2018년 8.4%에서 2022년 6.5%로 4년 만에 1.9%포인트, 25.5%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다.
2022년 우리나라 6대 산업의 수출시장 점유율(6.5%)은 중국(14.1%), 독일(8.3%), 대만(8.1%), 미국(7.6%)보다 낮았다. 2018년엔 일본 등 6개국 중 1위 중국 다음으로 점유율이 높았다. 하지만 2022년엔 독일, 대만, 미국 3개국에 역전을 허용하고 말았다. 5위 한국, 6위 일본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1.3%)과 중국(△2.7%)의 수출시장 점유율 하락은 우리나라보다 적었다. 대만(+31.8%)과 독일(+4.6%)은 점유율이 오히려 상승했다.
2022년 우리나라 6대 산업 총 수출액은 1,860억 달러로 2018년(1,884억 달러) 대비 1.2% 감소했다. 우리나라 산업 전체 수출에서 6대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31.1%에서 27.2%로 하락했다.
수출 비중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에서 6대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27.2%)은 주요 6개국(한국,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대만) 중 대만(48.1%) 다음으로 높아 6대 산업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경쟁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경총은 2018년 대비 2022년 전 세계 6대 첨단산업 총수출은 24.2% 늘었지만 우리나라 6대 산업의 수출은 1.2% 줄면서 결국 수출시장 점유율 감소로 이어졌다고 봤다.
특히 수출 규모가 가장 큰 반도체의 수출시장 점유율은 같은 기간 13.0%에서 9.4%로 32.5% 하락해 중국(15.7%), 대만(15.4%)에 이어 3위로 후퇴했다.

글로벌 반도체 수출은 같은 기간 31.8% 증가했지만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은 감소(1,293억 달러→1,285억 달러)하면서 점유율 하락의 주요 요인이 됐다는 게 경총의 풀이다.
대만의 반도체 수출시장 점유율은 같은 기간 11.2%에서 15.4%로 크게 상승(+32.2%)하며 우리나라와 대만 간 점유율 순위가 역전되고 말았다.
반면 같은 기간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수출시장 점유율은 9.9%에서 10.3%로 4.8% 상승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디스플레이의 수출시장 점유율(10.3%)은 6개국 중 중국(24.5%) 다음으로 높았다. 2018년에 비해 수출액이 감소(359억 달러→ 250억 달러)하긴 했지만 글로벌 디스플레이 수출 전체가 41.1% 줄면서 우리나라 수출시장 점유율은 10.3%로 오히려 4.8% 상승했다.
한편 2022년 우리나라 6대 산업별 수출액은 반도체 1,285억 달러, 디스플레이 250억 달러, 이차전지 100억 달러, 미래차 98억 달러, 바이오 74억 달러, 로봇 54억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글로벌 기술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는 가운데 반도체를 비롯한 우리나라 첨단산업의 수출시장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다"며 "규제 완화, 세제 지원 확대 등 첨단산업 경쟁력 및 국가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한 전향적인 대책들이 시급히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