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수치료·영양제 주사등 일부 비급여 항목개선은 건의

보험사들이 상생금융 차원에서 실손보험료 인상률을 최소화하고, 자동차보험료도 인하하기로 했다.
손해보험협회와 생명보험협회는 내년도 실손의료보험의 전체 인상률 평균(보험료 기준 가중평균)이 1.5% 수준으로 산출됐다고 18일 밝혔다. 2022년 14.2%, 2023년 8.9% 인상된 것보다 큰 폭으로 낮아졌다.
세대별로 보면 1세대는 평균 4%대 인하율이 산출됐다. 2세대는 평균 1%대, 3세대는 평균 18%대 올리기로 했다. 2021년 출시된 4세대는 동결된다.
실손보험 손해율은 일부 비급여 항목의 과잉 진료로 인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올해 상반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1.2%로 지난해년(118.9%)보다 올랐다. 이 중 3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지난해 131.4%에 이어 올해 상반기 156.6%로 급상승했다. 손해율이 100%보다 높다는 것은 보험사들이 실손보험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는 의미다.
손해보험협회는 "내년도 보험료 인상률은 보험사들의 평균 수준으로 모든 가입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인상률은 아니다"며 "가입 상품의 갱신 주기·종류·연령·성별 및 보험회사별 손해율 상황 등에 따라 개별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인상률은 다를 수 있다"고 밝혔다.
보험업계는 실손보험 손해율 상승이 지속되는 만큼 도수치료·영양제 주사 등 일부 비급여 항목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해 당국에 건의할 방침이다.
손해보험사들은 사회적 책임 강화 차원에서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하기로 했다. 손해보험협회는 "고금리와 물가상승에 따른 국민들의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대다수 국민이 가입한 자동차보험료 인하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보험료 인하 여부와 인하 폭, 시행 시기 등 구체적 사항은 개별 보험사들이 결정해 이번 주부터 발표할 예정이다. 보험업계는 평균 인하율이 2.5% 수준, 보험사별로 최대 3%를 인하하는 곳도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