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과 미국서 부동산 매입보다는 매각에 치중
중국 정부의 부채감축정책과 위안화 약세 영향
중국 정부의 부채감축정책과 위안화 약세 영향
올해 ‘왕서방 큰손’(차이나머니)들이 중국정부의 규제 등으로 글로벌 부동산 투자에서 손을 뺄 것으로 전망됐다.
1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세계 금융환경의 변화와 중국정부의 규제로 예전처럼 중국의 대규모 부동산 투자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조사업체인 리얼캐피털 애널리틱스의 자료를 보면 중국 대기업과 투자자들은 작년 3분기에 2억2천330만 달러(약 2천600억원) 규모의 유럽 호텔, 사무용 건물, 그 외 상업용 부동산을 팔았으나 사들인 건물은 5천810만 달러(약 650억원)에 그쳤다.
이들 투자자는 미국에서도 10억 달러(약 1조1천200억원) 규모의 건물을 팔면서 2억3천100만 달러(약 2천590억원) 규모의 건물을 구입했다. 이처럼 중국의 투자가 격감하는 요인으로 ▲위안화 약세▲중국정부의 부채감축▲글로벌 금리 상승 등이 꼽히고 있다. 지난해 중국 위안화 가치는 달러 대비 5.7% 떨어졌다.
위안화는 올해에도, 특히 미중 무역 전쟁의 긴장이 고조되면 계속 하락할 것으로 관측된다.
대략 2014년부터 시작된 중국 투자자들의 부동산 구입, 개발 프로젝트 참여의 동력은 낮은 금리의 대출에 힘입은 바가 컸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