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아파트 전세 갱신 계약을 통해 보증금을 낮춘 경우가 약 40%인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정보 포털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로 전국 아파트의 갱신 전세보증금을 종전 보증금과 비교해 16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세 갱신 계약 10만8794건 중 41%(4만4530건)는 보증금을 낮췄다.
지난해 해당 비율이 연간 4%였던 것과 비교하면 10배 수준으로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감액 갱신 비중이 44%로 지방(34%)보다 높았다. 이는 지방보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상대적으로 더 큰 폭으로 하락했다는 방증이다.
부동산R114 분석 통계 기준 2021년 말 대비 올해 9월 말 전셋값 변동률은 수도권이 평균 -12.63%, 지방은 -8.21%로 수도권의 전셋값 하락폭이 더 컸다.
보증금을 낮춰 계약을 갱신하는 경우가 늘어난 동시에 감액 규모도 컸다. 올해 전세 보증금을 낮춘 재계약(4만4530건) 가운데 감액 폭이 5000만원 이하인 경우는 39.2%(17437건)였다. 이는 지난해 48.7%에서 9.5%포인트 낮아졌다. 수도권은 지난해 44.2%에서 올해 34.2%로, 지방도 59.4%에서 55.8%로 해당 비중이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높은 수도권은 5000만원 초과 1억원 이하로 보증금을 감액한 비중이 35.9%로 가장 컸다. 서울 강남권 대형 아파트의 경우 5억원 이상 보증금을 낮춘 사례도 있었다.
지방의 경우 5000만원 이하로 감액한 경우가 과반을 차지했다. 세종(77.3%)과 대구(58.9%), 대전(51.7%), 울산(51.3%) 등 대도시에서는 5000만원 넘게 감액한 비중이 더 컸다.
부동산R114는 "전세 감액 갱신이 많아진 것은 올해 재계약 물량 대부분이 가격 고점이었던 2년 전 체결된 계약이기 때문"이라며 "전셋값이 여전히 전(前)고점 이하에 머물러 있는 단지가 상당수인 만큼 연말까지 감액 갱신 비중은 40% 후반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