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1.1%에서 1.0%로 수정됐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이 낮춰 잡은 올해 성장률 2.2% 달성이 힘들어질 전망이다.

한은이 3일 발표한 2019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459조8134억원(계절조정 계열)으로 전분기보다 1.0% 증가에 그쳤다. 이는 지난 7월 발표된 속보치 1.1%보다 0.1%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추가 반영된 6월 경제활동에서 정부소비와 총수출이 각각 0.3%포인트 하향 조정된 게 결정적이었다.
GDP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민간은 -0.2%포인트, 정부는 1.2%포인트였다. 수출 감소와 투자 부진으로 민간 부문이 성장률을 갉아먹은 것을 막대한 재정 투입을 통해 정부가 간신히 플러스 성장을 이끌어낸 모양새다.
속보치 때 없었던 국민총소득(GNI)은 453조3080억원으로 전기 대비 0.2% 증가에 그쳤다. GNI는 전체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 모든 소득을 합친 것이다.
GDP 디플레이터는 -0.7%로 2006년 1분기(-0.7%)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GDP 디플레이터는 지난해 4분기(-0.1%), 올해 1분기(-0.5%)에 이어 3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해 디플레이션 우려를 키웠다.
지난 1분기 -0.4% 역성장에 이어 2분기 성장률도 1%에 그치면서 한은이 하향 조정한 올해 성장률 2.2%도 달성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하반기 경제상황은 미중 무역전쟁 격화, 일본의 경제보복 등 불확실성이 증폭되면서 수출이 9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상반기보다 험난하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최근 국회에서 "수출 부진이 심화되면 (한은이 전망한) 성장률(2.2%) 달성이 쉽지 않다"고 밝혔다. 2분기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로 2%에 그침으로써 이러다가 2% 성장조차 달성하기 힘든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