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리가 연 1∼2%로 낮아질 가능성이 크지 않으므로 집을 살 때 고려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창용 총재는 24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와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부동산 관계 대출이 늘어난 것은 많은 사람이 금리가 안정돼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했기 때문"이라며 "걱정스러운 것은 집값 바닥 인식으로 이자율이 낮아질 것이라는 생각으로 투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상품 등이 나오면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회피한 영향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지난 10여년간 금리가 굉장히 낮았고, 지금 젊은 세대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경험 못해서 다시 낮은 금리로 갈 것이라고 생각하고 집을 샀다면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것이 금통위원들의 일치된 견해이며, 인하 시기를 논의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강조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 불확실성과 가계대출 증가세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당분간 기준금리를 현 3.5%보다 높은 3.75%로 올릴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3%에서 2.2%로 0.1%포인트 하향 조정한 것은 "중국 경제의 빠른 회복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동산 시장을 볼 때 중국 경제의 빠른 회복은 어려울 가능성이 커졌고, 이것이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 성장률이 낮아 금리나 재정으로 보완할 상황이냐고 물으면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금리나 재정으로 (성장률을) 0.1%포인트 올리려 노력하면 구조조정을 방해하는 면도 있다. 국민 체감은 이해하지만, 우리만 경기가 나쁜 상황이냐에 대해서는 공감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