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지난5월 분석…"수출경쟁력 회복 위해선 반도체 등 핵심 분야 공격투자 필요"

지난 5월 한국의 대(對)중국 수출 규모는 중국의 교역국 중 4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 2위에서 1년 만에 두 계단 밀렸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9일 한국의 대중국 수출 현황에 대해 이렇게 분석한 뒤 "대중국 수출경쟁력 회복을 위해서는 반도체 등 핵심 분야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의 5월 대중국 수출액은 지난해 5월 대비 23% 줄었다. 이처럼 중국에로의 수출이 감소하면서 대중국 무역수지는 악화하고 있다. 한국의 대중국 무역수지는 지난해 5월을 기점으로 적자를 내기 시작했고, 올해 1∼5월 적자 규모는 118억달러에 이르렀다. 지난해 5∼12월 52억달러 적자의 두 배를 넘어섰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소수 품목에 편중된 한국의 수출구조와 수출경쟁력 약화가 대중국 무역적자 확대의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대중국 수출액에서 89%를 차지하는 중화학·전자·기계는 최근 모든 품목에서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지난 5월 반도체를 포함한 전기·전자제품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29% 감소했다. 이런 감소세는 철강(23%↓)·화공품(20%↓)·기계류 및 정밀기기(12%↓)에서도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반도체 등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수출경쟁력 초격차를 확보하는 것을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