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1년 안에 계약이 끝나는 전국 주택의 전세보증금이 약 300조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최근 전세사기와 전셋값 하락에 따른 역전세가 사회문제화한 가운데 보증금 미반환 문제가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동산 거래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2년 전세계약이 끝나는 전국 주택 전세거래 총액은 302조17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하반기 계약이 만료되는 금액이 149조800억원, 내년 상반기 만료 예정 금액은 153조900억원이다.
이는 국토부가 2011년 실거래가 자료를 공개한 이후 최대 규모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 2년 만기가 돌아오는 전세 총액은 아파트가 228조3800억원으로 전체의 75.6%를 차지했다. 이어 연립 다세대 33조4200억원(11.1%), 단독 다가구 22조8100억원(7.5%), 오피스텔 17조5600억원(5.8%) 등이었다.
직방은 "아파트가 아닌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25% 수준이지만, 최근의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례가 주택에서 집중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도별로 향후 1년간 전세계약이 만료되는 전세보증금 총액은 서울이 118조68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도 98조9300억원, 인천 15조8200억원으로 수도권에서만 233조4300억원(77.3%)이 집중됐다.
수도권을 제외하면 부산의 전세계약 만료 보증금 총액이 12조1700억원으로 지방에서는 유일하게 10조원을 넘었다.
특히 향후 1년간 전세계약 만료가 예상되는 보증금 총액 상위 시군구는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강서구, 강동구인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강남구가 13조2100억원으로 가장 많다. 이어 서울 송파구 11조6000억원, 서초구 9조2500억원, 강서구 7조4700억원, 강동구 6조5500억원 순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