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70년 우리나라 인구 10명 중 3명은 75세 이상 노인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이 16일 내놓은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 분석 자료에 따르면 올해 7.7%인 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점점 높아져 2070년에는 30.7%에 이르게 된다. 이 같은 7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일본(25.6%), 스페인(24.8%), 이탈리아(24.1%), 폴란드(22.6%), 미국(16.0%) 등 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다. 그만큼 고령화 속도가 다른 나라보다 빠르다는 방증이다.
올해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8.4%다. 이 중 75세 이상 인구 비중은 7.7%로 65∼74세(10.7%)보다 작다. OECD 주요 회원국과 비교하면 일본(17.0%), 이탈리아(12.7%), 영국(9.6%), 미국(7.4%)보다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이후 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점점 늘어나며 2037년에 16.0%로 65∼74세 비중(15.9%)을 웃돈 뒤 2070년에는 30.7%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약 50년 뒤에는 우리나라 인구 10명 중 3명이 75세 이상 노인이라는 의미다.
우리나라 인구 중 65세 이상 비중은 2037년 31.9%, 2070년 46.4%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개선되고 있지만, 10명 중 6명꼴로 소득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76세 이상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51.4%였다. 66∼75세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30.5%로 76세 이상 고령자보다 낮았다.
상대적 빈곤율은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중위소득 50% 이하에 속한 인구 비율이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76세 이상 고령자의 빈곤율은 2011년 55.3%, 66∼75세 고령자는 43.5%로 각각 3.9%포인트, 13%포인트 낮아졌다.
평균 생활비와 비교해 실제 소득수준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75세 이상 가구의 비율은 63.8%였다. 65∼74세 가구 중에서는 59.3%가 소득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생활비는 본인·배우자가 주로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74세의 78.7%가, 75세 이상 중에서는 46.0%가 본인·배우자가 부담했다.
본인·배우자가 생활비를 부담하는 경우 65∼74세는 근로·사업소득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가 54.2%로 가장 많았다. 75세 이상은 연금·퇴직급여(42.4%)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