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 원하는 시간대와 좌석 예약하고 경유정류장 최소화…국토부와 용인 등과 협약

국토교통부는 14일 서울 마포 중소기업DMC타워에서 경기도 및 수원·용인·화성·시흥·파주·광주시 등 6개 기초 지방자치단체와 수요 응답형 광역교통서비스(M-DRT·광역 콜버스) 시범사업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광역 콜버스는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와 좌석을 예약해 대기시간을 줄이고 경유하는 정류장 수도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일반 버스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새로운 교통수단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콜버스 서비스 범위를 지역 내에서 광역권으로 넓혀 지역 간 이동시간과 환승 횟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광역 콜버스는 오는 8월부터 협약을 맺은 경기도 내 6개 시에 지역당 3대씩 순차적으로 투입된다. 카카오T 앱에서 사전 예약과 탑승 장소 및 시간 확인, 요금 결제를 할 수 있다. 광역 콜버스 요금은 기존 광역버스 요금과 같은 2800원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날 협약식 후 서울∼경기를 통근하는 직장인들과 함께 광역 콜버스를 시승하고 간담회를 했다. 원 장관은 "서울 사당역, 안양 범계역 등에서는 출퇴근길에 광역버스를 타기 위해 오랜 시간 기다리는 시민이 많다"며 "수도권 광역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