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제74주년 광복절인 15일 일본의 보복성 조치가 부당하다고 지적하면서도, 일본과의 대화 의지를 밝힘에 따라 한일갈등을 해소하는 계기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광복절 경축사에서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를 두고 "자국이 우위에 있는 부문을 무기화"한 것이라며 "먼저 성장한 나라가 뒤따라 성장하는 나라의 사다리를 걷어차는" 행위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도 문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우리는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일본과 전면전에 앞서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는 데 방점을 두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지난 2일에는 일본이 한국을, 열흘 뒤에는 한국이 일본을 자국의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하면서 수출규제를 둘러싼 한일갈등이 전면전 양상을 띠는 상황에서 대화 기조를 천명한 것이다.
이날 문 대통령의 경축사에서는 일본의 심기를 자극할만한 강한 표현은 없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일 일본을 향해 "명백한 무역보복", "이기적 민폐행위"라고 지적했고, "다시는 일본에 지지 않겠다", "승리의 역사를 만들겠다"며 정면 대응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의 광복절 메시지와 관련해 이달 21일께 중국 베이징 외곽에서 열리는 한일중 외교장관 회담을 계기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따로 만나 해법을 모색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한일 외교당국은 현재 양자회담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성사된다면 양측은 이달 초 태국 방콕에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계기로 만나 일본 정부가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한 것을 두고 설전을 벌인 이후 약 3주 만에 얼굴을 마주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