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을 상대로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들의 약 85%는 대(對)중국 수출이 올해 안에 회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대중국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10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50.7%가 '올해 들어 중국 수출 위축과 부진을 체감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수출 회복 시점으로는 응답 기업의 40.0%가 2∼5년 후를 꼽았다. 내년(27.3%)이나 올해(15.7%)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또한 예년 수준으로의 수출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응답도 17.0%였다. 전체 응답 기업의 84.3%가 올해 안에 대중국 수출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 것이다.
한국과 중국 기업의 기술 경쟁력 격차에 대해선 '3년 이내'(38.7%)라는 응답이 '5년 이내'(15.0%)나 '5년 이상'(6.0%)보다 많았다. 양국 기술 경쟁력이 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도 36.6%에 이르렀다.
또 향후 5년간 한국과 중국의 기술 성장 속도를 묻는 설문에 80%에 가까운 기업들이 중국의 성장 속도가 한국을 능가하거나(41.3%) 비슷할 것(35.3%)이라고 예측했다. 최근 중국에서 일어나는 '궈차오'(애국소비) 열풍으로 한국 제품과 중간재에 대한 선호도 감소를 체감한다고 응답한 기업도 32.7%였다.
기업들은 중국을 대체할 수출시장으로 아세안(37.3%), 인도(31.7%), 미국(12.7%), 중동(9%)의 순서로 꼽았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미중 갈등 심화와 코로나19 봉쇄 경험으로 글로벌 생산 거점의 중국 이탈이 가속하고, 중국의 자급률 제고도 첨단산업과 고부가가치 품목으로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라고 진단한 뒤 "무역흑자 전환을 앞당길 단기 정책과 더불어 주력 제조업 고도화, 첨단산업 분야 기술투자 위험 분담 등 수출산업 경쟁력 전반을 쇄신할 구조적 대책 마련을 병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