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에 35만4천명 증가했지만 60세이상 빼면 9만명 감소한셈
제조업과 청년층 취업은 최근 2년여 사이 최대폭 감소 찬바람
제조업과 청년층 취업은 최근 2년여 사이 최대폭 감소 찬바람

4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5만여명 늘어난 가운데 청년층과 제조업에선 취업자 감소세가 이어졌다. 수출 감소에 따른 제조업 취업자 감소폭이 크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4월 취업자 수는 2843만2000명으로 지난해 4월 대비 35만4000명 늘었다. 이는 3월 취업자 수 증가폭(46만9000명)보다 적지만 2월 취업자 수 증가폭(31만2000명)보다는 많은 것이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지난해 6월부터 9개월 연속 둔화하다가 3월에 확대로 돌아섰는데, 한 달 만에 다시 둔화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44만2천명 늘어난 반면 60대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8만8000명 줄었다. 특히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3만7000명 줄어 6개월 연속 감소했다. 40대 취업자도 2만2000명 줄어 10개월 연속 감소했다.
청년층 취업자는 2021년 2월(-14만2000명)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30대와 50대 취업자는 각각 1만5000명, 5만5000명 늘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9만7000명 줄어 넉 달째 감소했다. 이는 2020년 12월(11만명) 이후 28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통계청은 "수출 감소 부분이 회복되지 않으면 제조업 고용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숙박·음식점업(17만1000명)과 보건복지업(14만8000명), 전문과학기술업(10만명) 등은 취업자가 늘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