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는 옛말…서울 아파트 매매-전셋값 차이 커켰다

지난해 말 기준 매매-전셋값 격차 3.3㎡당 2159만원…84㎡ 기준 7억 벌어져

2023-01-12     이코노텔링 곽용석기자

지난해 말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셋값 차이가 역대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전용면적 84㎡ 아파트 매매-전셋값 차이가 7억원으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어려워지면서 아파트 거래량도 급감했다.

부동산 포털인 부동산R114가 조사해 12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3.3㎡당 4235만원, 전세가격은 2076만원으로 매매-전세 가격 차이가 3.3㎡당 2159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부동산R114가 시세 조사를 시작한 2000년 이래 매매-전세가격 차이가 가장 크게 벌어진 것이다. 2015년 매매-전세가격 차이 3.3㎡당 496만원이었던 것이 집값이 크게 오른 2018년 1310만원으로 벌어졌다. 이어 2019년 1561만원, 2020년 1832만원, 2021년 2127만원으로 7년 연속 매매-전세가격 차이가 확대됐다.

특히 지난해는 금리상승 여파로 매매와 전세 가격이 동반 하락하는 가운데 매매보다 전셋값 하락폭이 커지면서 격차가 더 크게 벌어졌다. 부동산R114 조사 기준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45%, 전세는 3.19% 각각 하락했다.

2021년 7월말 임대차 2법 시행 이후 급등했던 전셋값이 지난해 더 급격히 떨어졌다. 가파른 금리상승 여파로 신규 전세 수요가 줄고, 월세 전환 수요는 늘면서 최근에는 2년 전보다 싼 전세 물건이 속출한 결과다.

전용면적 84㎡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전셋값 격차는 약 7억원으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어려워졌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1만1646건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한 데에는 금리상승, 경기침체와 함께 전셋값 하락도 영향을 미쳤다.

실제 매매-전세 가격 차이가 3.3㎡당 496만원으로 적었던 2015년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2만225건으로 2006년(12만812건) 이후 최다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