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은 부동산 …올 거래량 반토막
11월 기준 미분양은 한달새 1만가구 증가해 6만가구 육박
올해 주택 거래량이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가운데 11월 기준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6만 가구에 육박했다. 국토교통부가 미분양 아파트 6만2000가구를 위험선으로 보고 있어 내년 초 규제지역 추가 해제 등 부동산 규제 완화 조치가 취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가 30일 내놓은 '1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5만8027호로 10월보다 22.9%(1만810호) 급증했다. 미분양 주택 물량은 2019년 9월(6만62호) 이후 3년 2개월 만의 최고치다.
미분양 주택이 한 달 새 1만호 이상 증가한 것은 부동산경기 침체가 심각했던 박근혜 정부시절인 2015년 12월(1만1788호) 이후 6년 11개월 만의 일이다. 특히 수도권 지역 미분양 주택이 1만373호로 한 달 새 36.3%(2761호) 급증했다. 지방 미분양 주택도 4만7654호로 20.3%(8049호) 증가했다.
특히 주택건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 주택이 7110호로 10월보다 0.5% 늘었다. 이 같은 미분양 주택 증가세로 미뤄볼 때 12월 미분양을 더한 올해 총 미분양 주택은 6만2000가구를 넘을 전망이다.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 27일 한 포럼에서 "국토부는 미분양 아파트 6만2000가구를 위험선으로 보는데, 매달 1만 가구씩 미분양이 늘어나고 있다"며 "당초 예상보다 부동산 경기침체가 심각한 만큼 규제완화 속도를 더 높이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내년 주택 공급 과잉이 더 심각해질 것이라는 점이다. 부동산 포털 '직방'에 따르면 내년에는 올해(25만6595가구)보다 18% 정도 많은 30만2075가구(413개 단지)가 입주할 예정이다. 수도권은 올해보다 9%, 지방은 29% 입주 물량이 증가한다.
'부동산R114'가 집계한 내년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올해보다 약 2만가구 늘어난 35만853가구다. 이 같은 미분양 주택 급증은 아파트값 추가 하락 외에 자금력이 약한 건설사의 연쇄 도산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등 거센 후폭풍을 예고하고 있다.
한편 올해 들어 11월까지 전국의 주택 매매량(누계)은 48만18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1% 감소했다. 수도권이 19만587건으로 전년동기보다 58.4% 줄었고, 지방은 28만9600건으로 42.5% 감소했다. 서울 지역 주택 매매량은 1∼11월 5만316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9%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