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 깃드는 김포…교통지옥 벗고 도시규모 더 키운다
尹정부 첫 신규택지 후보지로…4만6천가구 '콤팩트시티' 조성 5호선 연장하고 GTX 연계 … 2027년부터 순차적 분양할 계획
2기 신도시인 김포한강신도시와 김포양곡지구 사이에 4만6000호 규모의 '김포한강2' 신도시가 조성된다. 이에 맞춰 서울 지하철 5호선을 이곳으로 연장 건설한다.
국토교통부는 11일 경기도 김포시 마산동, 운양동, 장기동, 양촌읍 일대 731만㎡를 신규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로 이름 붙인 이곳은 윤석열 정부가 조성하는 첫 신규 택지다. 주택공급 규모는 4만6000호로 김포한강신도시(5만호)와 합치면 분당과 비슷한 10만호에 이른다.
정부는 2027년부터 순차적으로 분양을 시작하고, 주택공급 시기는 시장 상황에 맞춰 탄력적으로 조정할 방침이다.
김포한강2 신도시는 지하철 5호선 노선 연장과 연계해 추진한다. 이날 신규택지 지정 발표와 함께 서울시, 김포시, 서울 강서구가 지하철 5호선(종점 방화역)의 김포 연장을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방화역 인근 차량기지를 연장될 5호선 종점 부근으로 이전하고, 건설폐기물 처리업체가 이전할 수 있도록 지자체들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5호선 연장은 김포지역 주민들의 숙원이지만 차량기지,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이전 문제와 노선을 두고 지자체 간 의견 차이로 진전되지 못한 상태였다.
김포한강2에서 광화문역까지 지금은 두 번 환승해 90분이 걸리지만 5호선이 연장되면 69분으로 줄어든다. 장기역은 지하철 5호선과 GTX-D, 김포골드라인 등 3개 노선이 지나게 될 전망이다.
김포한강2 신도시는 철도역을 중심으로 주거, 사무시설을 집약시키는 '콤팩트시티' 개념이 도입된다. 역에서 300m 이내 초역세권을 고밀 개발해 대형 오피스와 복합 쇼핑몰을 배치한다. 복합환승센터와 간선급행버스(BRT) 정류장 인근 등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는 청년주택을 집중 배치하기로 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교통 사각지대로 심각한 교통난이 발생하는 지역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광역교통 확충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앞으로도 광역교통과 연계된 콤팩트시티를 조성해 도심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