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지주, '돈맥경화' 해소에 앞장선다
레고랜드 사태 이후 회사채 발행난 등 심각해지자 95조 규모 유동성 공급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 일시적 자금난 겪는기업에 최대한 대출 지원"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국내 5대 금융지주회사가 연말까지 총 95조원 규모의 유동성 공급 및 자금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레고랜드 사태 이후 회사채 발행에 어려움을 겪는 등 심각해진 돈맥경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5대 금융지주사 회장단은 1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금융위원장 주재 간담회에 참석해 자금시장 경색을 해결하는 데 협조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은 간담회에서 "인플레이션과 경기둔화로 인한 복합위기 국면인데 우리 시장이 좀 과잉 반응하는 데 더해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발행에 어려움까지 겹쳤다"며 "지금은 위기 초입 단계인 만큼 시장 안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은 "일시적으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많은데 최대한의 대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5대 금융지주는 73조원 규모의 시장 유동성 공급 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 더해 채권시장안정펀드와 증권시장안정펀드 매입에 12조원, 지주사 내 계열사에 10조원 자금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를 합하면 95조원에 이른다.
금융지주사들은 회사채의 원활한 발행을 돕기 위해 은행채 발행을 자제하기로 했다. 또 공기업과 소상공인, 각 기업을 대상으로 자금 공급을 확대하고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의 매입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최근 단기 금융시장이 일부 시장 충격에 민감히 반응해 회사채 시장까지 불안이 생겼으나 정부와 한국은행, 은행권 노력에 힘입어 시장 상황이 더 악화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 대책이 더 효과를 발휘하려면 원활한 자금순환을 위해 시장 참가자들이 협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