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품값 3분기 평균 9.5% 올라
밀가루(43%),식용유(33%)올라…소비자단체協 "체감·외식물가에 큰 영향"
올해 3분기 식품류 등 생활필수품 가격이 지난해 3분기 대비 평균 9.5%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가 서울·경기지역 420개 유통업체에서 판매 중인 35개 품목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보다 가격이 오른 33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10.4%였다. 상승률이 높은 5개 품목은 밀가루(42.7%), 식용유(32.8%), 설탕(20.9%), 콜라(14.6%), 어묵(14.6%)의 순서로 이들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25.1%에 이르렀다. 가격이 하락한 품목은 달걀(-10.3%), 고추장(-0.3%) 등 2개 품목에 불과했다.
개별 제품으로 보면 77개 중 72개 제품의 가격이 상승했다. 곰표 밀가루 중력분 다목적용의 판매가격 상승률이 43.3%로 가장 높았다. 이어 백설 밀가루 중력분(42.2%), '오뚜기 콩 100% 식용유'(40.9%), '백설 콩 100%로 국내에서 만든 콩기름'(31.2%)의 순서로 나타났다.
밀가루와 식용유 가격 급등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수급 불안 및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분기 대비 3분기 가격변동을 보면 39개 품목 중 25개 품목의 가격이 올랐다. 상승률 상위 5개 품목은 식용유(11.0%), 설탕(10.3%), 밀가루(9.5%), 마요네즈(6.8%), 햄(5.9%)의 순서였다. 마요네즈 가격이 오른 것은 식용유 가격 상승, 햄 가격 상승은 국제 곡물 사료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밀가루, 식용유, 설탕은 체감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며 외식물가까지도 영향을 끼치는 품목인데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며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면 제품 가격 인하를 약속·이행하는 상생의 문화가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