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반도체+바이오' 투 트랙 성장가도 뚫는다

의약품 단일공장 세계최대 송도 4공장 준공식 참석"10년간 7조5천억원 투자" 삼바, 10년만에 바이오의약품 위탁 생산능력 총42만L 확보해 글로벌 1위 올라 내년 60만L로 늘려 '초격차' 유지…반도체 이어 바이오를 '성장산업 육성'의지

2022-10-11     이코노텔링 장재열기자
삼성이

삼성이 미래 성장산업인 바이오 사업에 향후 10년 동안 7조5000억원을 추가 투자하고, 4000명 이상을 직접 고용한다. 바이오시밀러 분야도 제품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고도화해 글로벌 수준으로 사업을 키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1일 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캠퍼스에서 열린 제4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4공장을 둘러본 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에피스 경영진들을 만나 이같은 바이오의약품 위탁 개발·생산(CDMO)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중장기 경영 전략을 논의했다. 삼성은 바이오를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복권된 이후 현장 경영을 강화하는 이 부회장의 송도캠퍼스 방문은 반도체에 이어 바이오를 미래 성장산업으로 점찍은 의지를 보여주는 행보로 해석된다. 이 부회장이 송도캠퍼스를 찾은 것은 2015년 12월 3공장 기공식 이후 7년 만이다.

이달부터 부분 가동을 시작한 제4공장은 생산능력 24만L로 세계 최대 규모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장이다. 글로벌 바이오 기업의 단일 공장 평균 생산능력(9만L)의 2.7배에 해당하는 규모다. 삼성은 4공장 건설에 2조원을 투자했다.

이번 가동으로 삼성은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을 총 42만L 확보해 CDMO 분야 글로벌 1위를 달성했다. 사업 개시 10년 만이다. 내년에는 4공장 정상 가동으로 생산능력을 총 60만L까지 늘림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 초격차 우위를 점할 것으로 삼성은 기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글로벌 20대 제약회사 중 12곳을 고객사로 유치해 바이오의약품을 위탁생산하고 있다.

삼성은 4공장에 이어 5·6공장을 추가로 건설하고 생산 기술·역량을 고도화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허브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또한 4공장 건설로 기존 공장 부지를 모두 활용함에 따라 '제2 바이오 캠퍼스'를 새로 조성할 계획이다.

2032년까지 향후 10년간 바이오 사업에 7조5000억원을 투자해 11만평 규모의 제2 캠퍼스를 조성하고, 이곳에 공장 4개를 추가로 건설해 바이오 분야에서 초격차를 이룰 계획이다.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7월 인천시와 4260억원에 송도 11공구 산업시설용지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현재 사용 중인 송도 5공구 제1 바이오 캠퍼스보다 30% 크다. 2캠퍼스에는 국내 바이오 벤처 기업 육성을 지원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도 설치한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 6개를 시판 중인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항암·항염 치료제 위주로 구성된 기존의 파이프라인을 안과, 희귀질환, 골다공증 등 난치병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