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학과 수시 경쟁률 급상승
성균관대 논술전형 163.9대 1…평균 경쟁률 9.6대 1 지원자 9926명 몰려 들어 지난해보다 57%나 증가해
정부가 반도체 인재 양성 정책을 추진하자 2023학년도 대학 수시모집에서 반도체 관련학과 지원 수험생이 크게 늘고 경쟁률도 높아졌다.
종로학원이 집계한 대학 수시모집 현황에 따르면 전국 31개 대학 중 경쟁률을 공개한 30개 대학의 반도체 관련학과(1033명 모집) 지원자 수는 9926명으로 2022학년도(6322명)보다 3604명(57.0%) 증가했다.
11개 대학이 반도체 관련 학과를 신설했는데도 경쟁률은 더 높아졌다. 기존 20개 대학의 전년도 경쟁률은 8.6대 1였는데, 관련학과 신설 대학을 포함한 30곳의 2023학년도 경쟁률은 9.6대 1로 상승했다.
경쟁률을 공개하지 않은 한국과학기술원을 제외하고 반도체 관련 학과를 신설한 10개 대학의 경쟁률은 11.2대 1이다. 305명 모집에 3428명이 지원했다.
반도체 학과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의 경쟁률이 모두 높아졌다. 특히 서울 소재 대학의 경쟁률은 지방대의 3배를 넘었다. 서울 소재 10개 대학의 반도체학과 경쟁률은 18.1대 1로 2022학년도(7개 대학 17.6대 1)보다 높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5개 대학의 반도체학과 경쟁률도 6.8대 1에서 8.6대 1로 상승했다. 지방(한국과학기술원 제외) 15개 대학도 반도체학과 경쟁률이 3.8대 1에서 5.1대 1로 높아졌지만, 서울과 수도권 소재 대학보다는 경쟁률이 낮게 나타났다.
대학·전형별로 가장 높은 경쟁률은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논술 우수)로 163.9대 1에 이른다. 이어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논술) 155.7대 1, 아주대 지능형반도체공학(논술 우수자) 45대 1 순이다. 반도체학과가 인기를 끌며 논술 전형 응시생 쏠림이 더 심해졌다.
계약학과들만 보면 고려대 반도체공학과(12.2대 1·SK하이닉스)와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8.3대 1·삼성전자)의 경쟁률이 소폭 낮아진 반면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37.5대 1·SK하이닉스), 한양대 반도체공학과(12.4대 1·SK하이닉스) 등 신설 계약학과는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지방에서는 전북대 반도체과학기술학과(큰사람 전형) 13.8대 1, 한국해양대 나노반도체공학전공(일반) 11.0대 1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