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성장률에 먹구름…일각선 3%도 어렵다"
블룸버그통신 설문조사서 부동산위축 · 코로나 봉쇄·가뭄등 재해 등 원인 꼽아
경제전문 매체 블룸버그통신은 자사가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한 투자은행(IB) 등의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중간값이 3.5%로 집계됐다고 15일 보도했다. 이 전망이 현실화하면 40여년 만에 두 번째로 낮은 성장률을 기록하게 된다.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일부 주요 투자은행은 3% 성장률도 달성하기 어렵다고 관측 했다. 바클레이의 창 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부동산시장 위축과 코로나19 봉쇄 강화, 대외 수요 둔화를 이유로 중국 경제성장률을 기존 3.1%에서 2.6%로 낮췄다.
블룸버그통신은 제로(0) 코로나 정책에 따른 경기침체, 주택시장 붕괴, 가뭄 등 자연재해, 수요 부진을 중국의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짚었다. 중국은 지난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올해 성장률 목표를 '5.5% 안팎'으로 발표했다. 하지만 이후 중국 당국의 전망치는 불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경제의 가장 큰 걸림돌로 제로 코로나 정책을 꼽았다. 중국 당국은 10월 16일 개막할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를 앞두고 여러 도시에 대한 부분·전면 봉쇄와 전국적인 수시 코로나 검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소비 부진과 경기침체로 연결됐다.
부동산 시장 위기도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는 변수다. 중국 당국은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보유한 위험 부채를 줄이기 위해 2020년부터 규제 고삐를 죄었다. 그런데 2021년말 헝다(恒大·에버그란데)의 파산 위기를 시작으로 건설업체의 채무불이행과 건설 중단, 분양자들의 부동산담보대출(모기지) 상환 거부와 집단 시위로 이어졌다.
부동산 시장 위기는 금융위기로 전이될 위험도 안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7월 중국의 주택 판매액은 9000억위안(약 180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아파트 등 주택개발 사업 중단은 콘크리트와 철강 등 건설자재 수요를 줄여 제조업에 타격을 주고 있다. 7월 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4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고, 8월말 기준 철강 재고는 연초 대비 41% 증가했다.
수출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8월 수출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했으나, 이는 넉 달 만에 증가세가 크게 꺾인 것이다. 수출증가율은 상하이 봉쇄 등의 여파로 4월 3.9%로 급락했다가 5월 16.9%, 6월 17.9%, 7월 18%로 회복하는 듯했으나 8월에 다시 한자릿수로 주저앉았다.
가뭄과 폭염 등 이상기후도 공장 가동 등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쓰촨성과 충칭시는 폭염에 따른 냉방용 전기 사용 급증으로 일정 기간 산업시설용 전력 공급을 차단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