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외환보유액, 한달만에 22억달러 줄어
달러가 약 2.3% 평가절상되면서 기타 통화 외화 자산의 美달러화 환산액 감소
미국 달러화 초강세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한 달 사이 약 22억달러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364억3000만달러로 7월 말보다 21억8000만달러 줄었다. 외환보유액은 3월 이후 4개월 연속 줄어들다가 7월에 증가했는데 한 달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한은은 "8월 외화자산 운용수익,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 달러가 약 2.3% 평가절상되면서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미국 달러화 환산액이 줄어 전체 외환보유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8월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보면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949억4000만달러)이 7월보다 30억9000만달러 증가했다. 특별인출권(SDR·144억6000만달러)도 7000만달러 늘었다. 이와 달리 예치금(179억달러)과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교환성 통화인출 권리인 'IMF 포지션'(43억3000만달러)는 각각 53억달러, 4000만달러 감소했다.
금은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결국 예치금이 한 달 새 53억달러 줄어든 것이 전체 외환보유액을 감소시키는데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날 원/달러 마감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8.8원 상승한 1371.4원으로 13년 5개월 만에 1370원대로 올라섰다. 이처럼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 외환보유액이 환율 방어에 쓰일 수 있고,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도 줄기 때문에 외환보유액은 계속 감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7월 말 기준(4386억달러)으로 세계 9위 수준이다. 중국이 3조1041억달러로 가장 많고, 일본(1조3230억달러)과 스위스(9598억달러), 러시아(5769억달러), 인도(5743억달러)의 순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