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 디지털 인재 육성…초·중학교 코딩교육

대학 디지털 분야 학부 정원 규제도 풀어…대학·민간 연계교육 '부트캠프' 도입 영재학교·과학고 SW·AI 특화 교육과정 올해부터 시범운영하고, 영재 학급 확대

2022-08-22     이코노텔링 고현경기자

정부가 초·중학교 코딩교육을 필수화하고 대학 디지털 분야 학부 정원 규제를 푸는 등 제도를 정비해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간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육성하기로 했다. 디지털 인재는 인공지능(AI), 일반 소프트웨어(SW), 빅데이터, 메타버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신기술을 개발·활용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역량을 갖춘 인재를 일컫는다.

교육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22일 발표했다. 우선 디지털 전문 인재를 키우기 위해 대학이 교원 확보율만 충족하면 디지털 분야 학부 정원을 늘릴 수 있다. 기존 반도체 부문에 적용하던 규제 개선을 확대 적용하는 것이다.

학-석-박사 5.5년 통합과정으로 조기 박사학위 취득도 지원한다. 4단계 두뇌한국21(BK21) 사업을 통해 연구 인력을 육성하고, AI·메타버스·사이버보안·빅데이터 등 디지털 분야 대학원도 늘린다. 21개 분야 '디지털 혁신공유대학'과 '신산업 특화 전문대학' 사업을 확대하고, 2027년까지 SW중심대학도 100곳을 지정해 첨단분야 전공 인력을 늘린다.

아울러 영재학교·과학고 대상 SW·AI 특화 교육과정을 올해부터 시범운영하고, 영재학급도 확대한다. 디지털 분야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를 늘리고, 직업계 고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채용 연계형 직무교육 과정도 신설한다.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대학과 민간이 연계한 집중연계 교육과정(부트캠프)도 내년에 도입한다. 첨단 분야 취업을 원하는 대학생이 1학년에는 진로탐색, 2∼3학년에는 연계기업 맞춤형 교육과정을 거치고, 4학년에 부트캠프 과정을 수료한 뒤 취업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디지털 교육의 저변도 확대한다. 초등학교 정보 선택과목 도입, 중·고교 개설 과목 확대, 초·중학교 코딩교육 필수화를 통해 정보교육 수업시수를 늘린다. 2025학년도부터 적용되는 2022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초등학교는 정보 수업을 34시간 이상(현행 17시간), 중학교는 68시간 이상(현행 34시간) 편성한다.

학생의 발달 단계에 따른 체험·탐구 중심의 코딩 교육을 초·중학교에서 필수화한다. 유아 교육과정 운영 시 디지털 기반 놀이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유·초·중등 SW·AI 교육도 확대한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코딩교육 필수화와 관련해 "초등교육 과정에서는 놀이 중심의 알고리즘 체험학습이나 블록 기반의 컴퓨터 언어 경험을 해보는 것"이라며 "중학교에는 실생활에서의 문제 해결, 고등학교 단계쯤 되면 문제 해결 알고리즘 설계 같은 부분을 좀 더 직업세계와 연계될 수 있도록 코딩 교육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