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이 이자 수익 가장 높아

5대은행중 가계 예대금리차(1.62%p) 가장 커…인터넷선 토스뱅크 '최대' 전국 19개 은행에선 전북은행(6.33%p)…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서 공개

2022-08-22     이코노텔링 곽용석기자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가 5대 은행에선 신한은행이, 전체 은행 중에선 전북은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지나친 '이자 장사'를 막기 위해 22일부터 은행별 예대금리차가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공개됐다. 7월 기준 예대금리차 비교통계에 따르면 5대 대형 은행에선 신한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계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가 1.62%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우리은행(1.40%포인트), NH농협은행(1.40%포인트), KB국민은행(1.38%포인트), 하나은행(1.04%포인트)의 순서였다.

지방은행, 외국계은행을 포함해 22일 공시에 참여한 19개 은행 중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전북은행(6.33%포인트), 가장 적은 은행은 BNK부산은행(0.82%포인트)였다.

중·저신용자에 높은 금리로 많이 대출해준 인터넷은행의 예대금리차가 전통 은행보다 2%포인트 이상 높았다. 케이뱅크가 2.46%포인트, 카카오뱅크가 2.33%포인트였다. 후발주자는 토스뱅크가 5.60%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이에 대해 토스뱅크는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38%로 은행 중 가장 크고, 2% 금리의 수시입출금 통장이 주력 상품인데 이런 요구불예금 금리가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대출까지 포함한 전체 은행의 예대금리차(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는 5대 은행 가운데 NH농협은행이 1.36%포인트로 가장 컸다. 이어 우리은행(1.29%포인트), KB국민은행(1.18%포인트), 신한은행(1.14%포인트), 하나은행(1.10%포인트)의 순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