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에 금리오르자 소비 급속위축
6월 소매판매액 지수 전월보다 0.9% 줄어 3월 ~ 6월 넉달연속 감소는 24년만에 처음 반도체 수급 풀리면서 생산과 투자는 증가
물가상승과 금리인상 여파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며 국내 소비가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 연속 감소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소매판매액 지수는 118.3(2015년 100 기준)으로 전월보다 0.9% 줄었다. 소비 감소는 3월(-0.7%), 4월(-0.3%), 5월(-0.2%)에 이어 넉 달째 이어졌다. 국내 소비가 4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1997년 10월∼1998년 1월 이후 24년 5개월 만이다.
2월에 보합, 1월에는 2.0% 감소였던 것을 감안하면 실제 소비 부진은 더 길게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은 "6월에는 화물 운송 차질 등으로 차량 인도가 원활하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며 "예년보다 더운 날씨와 잦은 강우로 야외활동 수요가 줄어 준내구재 판매가 감소했고, 물가상승과 금리인상으로 소비심리가 다소 위축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통계청은 숙박·음식점업 등 대표적인 서비스산업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전체적인 소비는 회복세라고 판단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고 일상이 회복되면서 의약품과 가정 내 식료품 소비가 줄어든 대신 외식 등 서비스 소비는 늘었다는 것이다.
품목별로 보면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2.3% 줄었다. 예년보다 높은 기온과 강우 일수 증가 여파로 야외 스포츠용품을 비롯한 준내구재(-0.9%)와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3%) 판매도 감소했다.
전 산업 생산(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9로 전월보다 0.6% 높아졌다. 전 산업 생산은 4월(-0.9%) 감소에서 5월(0.8%) 증가로 전환한 뒤 6월까지 두 달 연속 증가했다. 제조업이 지난해 12월(3.5%) 이후 최대 폭인 1.8% 늘어 전 산업 생산 증가를 견인했다.
반도체 수급 차질이 완화하면서 반도체(4.2%), 자동차(7.4%) 생산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디스플레이 등 전자부품 생산은 주요 업체의 생산 중단과 스마트폰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14.4% 감소했다. 제조업 재고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5.6% 늘었다.
3∼5월 석 달 연속 증가한 서비스업은 감소세로 돌아서 0.3% 줄었다. 특히 도소매(-1.6%)는 화물연대 파업의 영향으로 자동차 판매가 줄면서 생산이 꺾였다. 폭염 여파로 예술·스포츠·여가(-4.9%) 생산도 감소했고, 숙박·음식점(1.7%)도 증가 폭이 둔화했다.
6월 설비투자는 4.1% 증가했다. 공급망 차질로 밀렸던 반도체 장비들이 들어온 영향으로 보인다. 하지만 건설기성은 앞선 화물차 파업 등에 따른 시멘트 수급 문제로 2%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