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취업정보 '워크넷'이용자 100만명 육박
지난해 하루 평균 접속자 11.3% 늘어 91만명 코로나 장기화로 비대면 구인·구직 수요 증가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수요가 늘면서 지난해 공공 취업정보 사이트 '워크넷'의 하루 평균 방문자 수가 10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용노동부 산하 고용정보원이 4일 공개한 워크넷 등 고용정보 포털사이트 이용자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워크넷의 하루 평균 방문자는 91만3000여명으로 전년(82만명) 대비 11.3% 증가했다. 워크넷은 구직자가 적합한 일자리를 찾거나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이트다.
워크넷을 통한 구직자의 지난해 구직 신청 건수도 356만건으로 전년(291만건)보다 22.3% 늘었다. 구인 신청도 110만건으로 전년(73만건)보다 50.2% 급증했다.
고용정보원은 아울러 "현재 시범운영 중인 지능형 직업상담 서비스 '잡케어' 이용자도 2000명을 넘어섰다"며 "취업정보 중심 상담에서 직무역량 및 직무중심 상담으로 전환하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전 국민 고용보험 확대 지원을 위한 고용보험 시스템 이용자도 늘고 있다. 앞서 고용정보원은 예술인과 택배기사 등 특수고용직 종사자, 플랫폼 기반 직종 등 전 국민 고용보험 확대적용 로드맵에 따라 회원 가입 없이 한 번의 인증만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편했다.
그 결과 고용보험 시스템 하루 평균 방문자는 지난해 31만명으로 전년(27만5000명) 대비 2.7% 늘었다. 실업급여 신청도 고용센터가 아닌 온라인으로 하는 비율이 57.1%에서 64.6%로 높아졌다.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직업훈련 시스템의 일평균 이용자도 지난해 61만8000명으로 전년(42만9000명)보다 44.1%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