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추가 금리 인상 필요성 강조

이달 말 퇴임 앞두고 송별 기자간담회서 ' 금융 불균형 위험 ' 지적 물가의 오름세 전망하면서 통화 정책의 완화 계속 줄일 것을 권고

2022-03-23     이코노텔링 곽용석기자

3월 말 퇴임하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주열 총재는 23일 송별 기자간담회에서 "높은 물가 오름세가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금융 불균형 위험을 줄여나갈 필요성도 여전히 크다"며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계속 줄여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빠른 속도의 금리인상을 예고했다"며 "지난해 8월 이후 우리가 선제적으로 대응해 잠시 금리정책 운용의 여유를 갖게 된 점은 다행이지만, 앞으로 상황은 녹록하지 않을 것"이라고 염려했다.

이주열 총재는 한은 총재를 연임하며 8년 동안 금융통화위원회 의장으로서 통화정책을 주도했다. 그는 1977년 한은에 입행한 뒤 경제전망을 담당하는 조사국장과 통화정책을 관장하는 정책기획국장을 거쳐 통화정책 담당 부총재보와 부총재를 역임했다.

이 총재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물가와 경제성장에 미칠 타격도 우려했다. 이 총재는 "지난 2월 한은이 내놓은 올해 성장률(3%)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3.1%)는 우크라이나에서 무력 충돌이 없을 것이라는 전제였다"라면서 "러시아의 침공 이후 유가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과 국내 수출기업의 애로가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우리나라 물가에 꽤 상승 압력을 주고 성장에도 부담을 주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후임 총재 후보로 지명된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국장에 대해서는 "학식, 정책 운용 경험, 국제 네트워크 등 여러 면에서 출중한 분"이라고 평했다. 사상 초유의 한은 총재 공백 상황에 대해선 "제 청문회 일자를 따져보면 다음 달 14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 전에는 새 총재가 취임할 수 있다고 본다"며 "만약 총재가 공석이라도 금통위는 합의제 의결기관이기 때문에 통화정책은 차질 없이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