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인플레 걱정 … 바이든 "푸틴발 가격 폭등세"
러시아의 무자비한 공격 비난 … 동맹국과 러시아 고립작전 혁신법 통과 의회 재촉 …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와 전화통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사태에 확고한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우크라이나에 군수물자 등을 지원을 아끼지 않지만 군사개입은 하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와 3차대전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결사 저항과 국제 사회의 비난 여론에 시달리면서도 우크라이나 군 주요시설에 대한 공격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미국은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 강도를 높히며 러시아가 스스로 곤경에 빠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대국의 대립으로 원자재와 곡물가격이 뛰고 원유값이 오르는 등 세계의 국민들이 인플레의 공포에 휩싸여 있습니다.
Yesterday, I traveled to Texas to tour a VA clinic and speak about the need to care for veterans who have encountered environmental hazards. Veterans are the backbone of this country — the very best of us. And we owe it to them, and their families, to do better.
저는 어제 텍사스로 가서 보훈병원을 둘러보았습니다. 환경적인 위해요인과 마주하는 재향군인들을 돌볼 필요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참전용사들은 이 나라의 근간입니다. 우리들중에서 가장 멋진분들입니다. 우리는 그분들과 그들 가족들에게 빚을 졌고 더 좋게 해야 합니다.
Today, I brought together business leaders and governors to discuss their support for the Bipartisan Innovation Act and the need to increase computer chip manufacturing. I urge Congress to send the bill to my desk as soon as possible.
오늘 저는 기업인, 주지사들과 함께했습니다. 초당적인 혁신법을 위한 그들의 지원과 컴퓨터칩 제조를 늘릴 필요성 등에 대해 토의했습니다. 저는 의회에 가능한 빨리 그 법안을 내 책상으로 보내길 촉구합니다.
I spoke today with President-elect Yoon Suk-yeol of the Republic of Korea to congratulate him on his election. I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him to continue to strengthen the U.S.-ROK Alliance and take on shared global challenges.
저는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 당선자와 통화했습니다. 당선을 축하했습니다. 저는 한미동맹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지구촌이 함께 마주한 도전들을 해결하는데 그와 같이 일하길 고대합니다.
Today's inflation report is a reminder that Americans' budgets are being stretched by price increases and families are starting to feel the impacts of Putin's price hike. But I am fighting to bring down the everyday prices that are squeezing Americans.
오늘 인플레이션 보고서는 미국의 예산이 가격 인상에 의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반가정들은 푸틴발 가격폭등의 영향을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미국인들을 옥죄는 일상의 가격을 내리기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In my State of the Union address, I said we must conduct strong oversight and robust criminal enforcement of pandemic fraud. Today, the Justice Department took action. The watchdogs are back.
국정 연설에서 저는 강한 대유행과 관련한 강력한 사기관리감독과 확고한 단죄를 해야한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법무부에서 행동을 합니다. 감시인이 돌아왔습니다.
I signed the Ending Forced Arbitration of Sexual Assault and Sexual Harassment Act of 2021 into law. This is a momentous day for justice and fairness in the workplace. For those who experience sexual harassment or assault, you have a right today that you did not have yesterday.
저는 2021년에 제정된 성폭행과 성추행법 강제조정의 종식을 법으로 명기했습니다. 이는 근로현장에서 정의와 평등을 위한 중대한 날입니다. 성추행이나 폭행을 경험한 분들은 여러분이 어제 가지지 못한 것을 바로 오늘 가졌습니다.
This afternoon, I took a virtual tour of two Siemens facilities — one in California and one in Texas. Because of the investments our infrastructure law delivers, Siemens is upgrading and expanding these facilities — creating 300 new good-paying jobs.
오늘 오후 저는 두 곳의 지멘스 시설에 대한 가상여행을 했습니다. 하나는 캘리포니아에 있고 다른 하나는 텍사스에 있습니다. 우리의 인프라법 시행으로 이뤄진 투자 때문에 지멘스는 이 시설들을 업그레이드했고 확대하고 있습니다. 좋은 일자리를 300개를 만들면서 말이죠.
Today I welcomed President Niinistö of Finland to the White House to talk about European security. During our meeting, we called PM Magdalena Andersson of Sweden to discuss enhancing our cooperation. Both countries are valued defense partners to the United States and NATO.
오늘 저는 핀란드대통령을 백악관에서 환영했습니다. 유럽 안보에 대해 이야기를 했습니다. 회담하는동안 우리는 스웨덴 총리를 전화로 불러내 우리의 협력을 증진하는 방안을 토의했습니다. 두 나라는 미국과 나토의 소중한 방위협력자들입니다.
On Sunday, March 7, 1965, time stopped and blood spilled as brave and righteous Americans sought to cross a bridge named after a Klansman in Selma, Alabama to reach the other side of justice.
일요일날. 1965년 3월7일, 시간은 멈췄고 피는 쏟아졌습니다. 용감하고 정의로운 미국인들은 알리바마 셀마에서 KKK(극우비밀경사체)단의 이름을 딴 다리를 건너 정의의 다른 편을 도달했습니다.
As Putin continues his merciless assault, the United States and our allies and partners continue to work in lockstep to ramp up the economic pressure on Putin and to further isolate Russia on the global stage.
푸틴의 무자비한 공격이 계속되면서 미국과 우리동맹, 협력파트너 국가들은 푸틴에 대한 경제적 압력을 더 강화하기위해 계속해서 보조를 맞추고 있습니다. 국제무대에서 러시아를 더욱 고립시킬 것입니다.
Before the American Rescue Plan, only 46% of schools across the country were open in-person. Today, 99% of schools are open safely. I stopped by a school in Philadelphia today to celebrate the progress we've made.
미국 구제법안이 없을 당시에는 전국 학교의 45%만이 학교 문을 열었는데 오늘 99%의 학교가 안전하게 문을 열었습니다. 저는 오늘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 학교에 들러 우리가 해낸 진보를 축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