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거래 빌라가 절반차지
지난해 연립·다세대 비중 51%로 역대 최고… 아파트는 39%에 그쳐 은평구 10채중 7채… 매매가 아파트(11억5천만원)의 3분의1도 안돼
지난해 서울 아파트 값이 급등하고 재개발사업 규제가 완화된 영향으로 서울 지역 빌라의 매매가 급증했다. 지난해 매매된 주택의 절반이 빌라(다세대·연립주택 포함)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서울의 빌라 매매 건수는 총 6만482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주택(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아파트) 매매 건수 12만6834건의 51.1%에 이른다.
전체 주택거래에서 빌라 매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부터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래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20년(37.9%) 대비 1년 사이 13.2%포인트 높아졌다. 서울 주택 매매 시장에서 빌라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27.9%에서 지난해까지 7년 연속 상승했다. 1년새 상승폭이 13%포인트를 넘기는 처음이다.
같은 기간 아파트 매매 비중은 39.2%에 그치며 처음으로 40% 아래로 떨어졌다. 빌라 매매 비중이 아파트 매매 비중보다 높은 것은 2007년(빌라 44.0%·아파트 41.3%)에 이어 두 번째다.
지역별로 은평구의 빌라 매매 비중이 69.4%로 가장 높았다. 이어 강북구(68.2%), 광진구(63.0%), 강서구(62.4%), 양천구(61.9%)의 빌라 매매 비중이 60%를 넘겼다. 송파구(59.5%), 금천구(58.3%), 관악구(57.9%), 강동구(53.2%), 마포·동작구(각 52.8%), 중랑구(52.1%)도 빌라 매매 비중이 50%를 넘어섰다.
2020년까지만 해도 아파트 매매량은 빌라보다 통상 월간 2∼3배까지 많았다. 빌라는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아 환금성이 떨어지고, 가격도 오르지 않는다는 인식이 있는 탓에 주택 수요자들이 빌라보다는 아파트를 선호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파트 매매는 장기간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 대출 규제와 금리인상 압박 등이 겹치면서 지난해 매매 건수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부동산원이 집계한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4만9751건으로 전년보다 47.0% 급감했다. 최근 5년 평균 거래 건수와 비교하면 49.5% 감소함으로써 예년의 반토막 수준의 거래를 보였다. 이와 달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빌라라도 구매하자는 수요가 몰렸다.
부동산원 시세 통계 기준 지난해 12월 서울 평균 아파트값은 11억5147만원인 반면 빌라 평균 매매가는 3억5284만원으로 아파트값의 3분의 1에 못 미쳤다. 시가 9억원을 넘지 않는 빌라의 경우 아파트와 달리 무주택자가 매수하면 별도의 전세자금 대출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울에선 지난해 1월부터 이달까지 14개월 연속 빌라 매매 건수가 아파트 매매 건수를 추월하는 현상이 지속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