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도로 막히는 구간 지하도로 건설
화성~서울, 수도권 1순환선 퇴계원~판교 계획 확정해 인천~서울 19.3km도…지상 여유공간 버스전용 늘려
상습 정체구간인 경부고속도로 화성∼서울 구간과 경인고속도로 및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퇴계원~판교 구간에 지하도로가 건설된다.
국토교통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년)을 도로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 고속도로 건설계획은 도로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것이다. 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는 신설 19건, 확장 18건 등 37건 55조원 규모 고속도로 사업이 포함됐다.
우선 경부고속도로 양재IC 이남 화성∼서울 구간(32.3㎞)에서 기존 지상 고속도로는 그대로 두고, 그 아래에 지하도로(터널)를 건설해 도로 용량을 확장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사업비는 3조2051억원이 투입된다.
경부고속도로 양재IC∼한남IC 구간은 서울시 관리 구간으로, 서울시가 별도로 지하화 사업 용역을 진행 중이다. 지하도로의 정확한 시·종점은 추후 국토부와 서울시 간 협의를 거쳐 정해진다.
경부고속도로는 하루 교통량이 20만대 이상으로 적정 수준(13만4000대)를 크게 웃돌아 교통정체가 심각하다. 이에 정부는 수도권 구간에 지하도로를 신설하는 입체적 확장을 검토해왔다. 이 지역은 주변의 도시개발로 인해 도로 용량을 수평으로 늘리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는 같은 이유로 경인고속도로 인천∼서울 구간(19.3㎞)과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퇴계원∼판교 구간(31.5㎞)에 각각 2조41억원, 4조486억원을 들여 지하도로를 건설하기로 했다. 지하도로 건설로 용량에 여유가 생기는 기존 지상도로에는 버스전용차로를 확대해 고속도로의 대중교통 서비스 지원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