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압구정역 '전국 1위 상권'
올해 하루 평균 136억원 매출기록 … 23만명이 하루 5만9천원 써 SKT 빅데이터 분석…코로나불구 애완동물숍·커피숍 등 개업늘어
코로나19 사태 이후 소비의 고급화와 외국인 관광객 감소의 영향으로 서울 압구정·청담역 상권이 뜬 반면 명동 상권이 저물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SK텔레콤은 자사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지오비전'으로 상권별 업소 수와 카드 매출, 유동인구 등을 분석한 '2021년 대한민국 100대 상권' 자료를 23일 공개했다.
분석 자료에 따르면 전국 100대 상권 중 월 평균 매출이 가장 큰 곳은 압구정역이었다. 압구정역 상권은 올해 하루 평균 13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하루 평균 유동인구는 23만명으로 전국 31위인데 유동인구당 매출은 약 5만9000원으로 최고였다.
압구정역이 매출 1위를 기록한 것은 SKT가 2012년 상권 분석을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 SKT는 명품 매장과 고급 레스토랑, 병원이 많은 이 지역 상권이 내수 소비가 고급화되는 현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했다.
2019년 120위권이었던 청담역 상권은 올해 59위로 순위가 올라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명품 매장과 고급 스튜디오, 병원 등이 많은 청담역의 하루 평균 유동인구는 3만3000명으로 주요 상권 중 적은 편인데 유동인구당 매출이 3만3000원으로 높아진 결과다.
해마다 국내 1위 상권이었던 서울 강남역 남부는 2019년 월매출 3654억원, 2020년 3817억원에서 올해 3586억원으로 성장이 주춤했다. 100대 상권 중 코로나19 사태 전후 순위 하락이 가장 큰 상권은 건대입구역 상권(2019년 63위→2021년 97위)과 명동역 상권(2019년 58위→2021년 91위)으로 나타났다.
특히 명동은 해외관광객 방문이 많았던 지역으로 코로나 사태로 여행이 제한되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동의 내국인 하루 유동인구는 2019년 18만명에서 현재 13만8000명으로 2년 새 약 25%가 감소했다. 같은 시기 외국인 관광객 방문도 하루 평균 3000명에서 150여명으로 급감했다.
올해 10월 기준 전국에서 월 1회 이상 카드 매출이 발생한 업소 및 매장은 전국적으로 192만개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10월 179만개보다 7.3% 증가한 것이다.
이 기간 증가폭이 큰 업종은 애견·애완동물숍(34%), 커피전문점(26.3%) 등이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소비자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고 원격근무 및 수업이 확산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SKT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