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 부족'…롯데정밀화학 생산 일부 멈춰
국내 시장 요소수 생산 절반 차지하는 업체…중국산 요소 수입 막혀 현재 재고량 이달 말이면 소진…추가 요소 물량 확보 안되면 셧다운
중국산 요소 수입이 중단되면서 국내 최대 요소수 제조업체인 롯데정밀화학이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롯데정밀화학 울산공장 요소수 생산 라인 중 일부가 지난주 가동을 멈췄다.
롯데정밀화학은 "요소수 공장이 전면 중단된 것은 아니고 일부 라인의 가동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롯데정밀화학은 연간 14만t의 요소수를 생산하며, 국내 요소수 시장의 50%를 점유한 최대 업체다.
롯데정밀화학에 따르면 현재 남은 요소 재고로는 이달 말까지 요소수 생산이 가능하다. 이들 제품이 시장에 출하된 뒤 동나는 시기는 12월 중으로 예상된다. 추가로 요소를 공급받지 못하면 이달 말께 공장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요소수 수요가 폭증하고 있어 재고 소진 시기는 더 빨라질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요소수 시장은 연간 28만t 규모다. 롯데정밀화학이 연간 수요의 절반인 14만t을 생산한다. 이밖에 KG케미칼, 휴켐스, 에이치플러스에코와 50여개 중소업체들이 나머지 절반 정도의 요소수를 생산·판매하고 있다.
요소수에 들어가는 요소 함량은 약 30%로 요소 1t으로 3t의 요소수를 만들 수 있다. 업계는 국내 경유차에 사용되는 요소수는 월평균 2만4000∼2만7000t으로 추정한다. 하루 평균 약 900t이 사용되고 있다.
정부가 중국 이외 국가에서 요소와 요소수를 긴급 공수해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확보된 물량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번 주 호주에서 들여오는 요소수 2만7000ℓ(약 27t)는 하루 수요 물량 900t의 3%에 불과하다. 다음 주 베트남에서 차량용 요소 200t을 들여오기로 했지만, 이는 600t의 요소수를 생산할 수 있는 물량으로 이 역시 하루치에 미달한다.
업계는 요소 추가 물량 확보가 시급하며,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중국에 의존하는 요소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동시에 국내 생산 시 해당 업체에 세제 혜택 등 지원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수입된 산업용 요소는 97.6%가 중국산이다. 과거 국내에서도 요소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있었으나 중국, 러시아 등과 비교해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다 요소 생산 업체들이 2013년 전후로 모두 문을 닫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