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 꺾이자 1분기 흑자 반토막
삼성전자가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 다운턴(하락국면)의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매분기 10조원을 넘어섰던 반도체 영업이익이 올해 1분기에는 5조원을 밑돌았다. 또 다른 부품 사업인 디스플레이 부문은 3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냈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 확정 실적이 매출 52조3855억원에 영업이익 6조2333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60조5637억원)보다 13.5%, 전분기(59조2650억원)보다는 11.6% 감소했다. 2017년 1분기(50조5500억원) 이후 가장 적은 규모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15조6422억원)보다 60.2%, 전분기(10조8006억원)에 비해선 42.3% 줄면서 거의 '반토막'이 됐다. 2016년 3분기(5조2000억원) 이후 10분기 만에 최저치다. 매출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인 영업이익률도 전년 동기(25.8%)의 절반에 못 미치는 11.9%로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했다.
주력인 반도체 사업의 이익 급감이 실적 악화의 주된 요인이다. 지난 2년 동안 실적 신기록 행진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제기된 반도체 편중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한 것이다. 반도체 사업은 매출 14조4700억원에 영업이익 4조1200억원을 기록하며 2016년 3분기(3조3700억원) 이후 가장 적은 폭의 흑자를 보였다. 반도체 흑자가 5조원을 밑돈 것은 2016년 4분기(4조9500억원) 이후 9분기 만이다. 반도체 영업이익률은 28.5%로 역대 최고치였던 1년 전(55.6%)은 물론 업황 하락이 본격화한 전분기(41.4%)와 비교해도 수직 하락했다.
디스플레이 사업은 올레드 패널 출하 감소와 LCD 패널 가격 하락 등 영향으로 56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16년 1분기(2700억원) 이후 첫 분기 적자다. 스마트폰 등 IM(IT·모바일) 부문은 갤럭시S10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분기(1조5100억원)보다 영업이익이 50.3% 증가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3조7700억원)에는 못 미쳤다. 소비자가전(CE) 부문은 지난해 같은 기간(2800억원)의 2배 수준인 54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비교적 선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