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그룹들, 미래사업 이끌 계열사 설립 늘어
최근 신성장 동력 겨냥 거점 계열사 지속 설립 7월 소속 계열사 2653개로 석달 새 41개 증가
계열사를 다수 거느린 대규모기업집단들이 사업구조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신기술 사업 분야에 진출하거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실적이 부진한 사업을 정리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3일 공개한 '2021년 5∼7월 대규모기업집단 소속회사 변동 현황'에 따르면 71개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회사는 7월 말 현재 2653개로 4월 말보다 41개 늘어났다. 회사 설립과 지분 취득 등으로 106개 회사가 계열사로 편입되는 한편 흡수합병 및 지분 매각 등으로 65개 회사가 그룹에서 제외됐다.
신규 편입 계열사가 가장 많은 대규모기업집단은 카카오(13개)와 장금상선(13개)이었다. 카카오는 안테나, 예원북스, 스튜디오하바나, 엔플라이스튜디오, 파이디지털헬스케어 등을 계열사로 추가했다.
장금상선은 흥아해운을 인수하면서 흥아지엘에스 등 12개사가 동반 편입됐다. SK는 디디아이와이에스832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등 계열사 11개를 늘렸다. 이와 달리 SM과 MDM은 각각 계열사 5개를 정리했다.
공정위는 5~7월 3개월 동안 대규모기업집단 변동의 가장 큰 특징으로 미래 성장동력 선점과 확보를 위한 신기술 사업 분야 진출을 꼽았다. 한화와 효성은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하는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갤럭시아메타버스를 각각 새로 설립했다.
한국타이어는 신기술사업 관련 투자·지원 사업을 위해 엠더블유홀딩 및 엠더블유앤컴퍼니를 신규 설립했다. SK는 부동산 빅데이터기업 한국거래소시스템즈 및 부동산 정보공개회사 더비즈를 인수하고, 화물운송 빅데이터기업 와이엘피의 지분을 매입했다.
유진은 계열 사모펀드를 통해 중고나라 지분을 취득해 최대 주주가 되었다. 쿠팡은 쿠팡이츠의 전국적 확대에 따른 고객, 상점, 배달업 종사자의 응대·지원을 위해 쿠팡이츠서비스를 만들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실적이 부진한 분야를 정리하고 고유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구조 개편도 두드러졌다. 한화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식음료 사업 부분을 분할해 더테이스터블을 설립했다.
SK는 태양전지 관련 사업을 하는 SKC에코솔루션과 전기통신공사업을 하는 SK TNS의 지분을 전부 매각했다. KT는 정보기술(IT) 통신사업 및 신사업 분야에 집중하기 위해 무전기를 제조·판매하던 KT파워텔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