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힘 … 상반기 매출 사상 최대
반도체 앞세워 128조원 넘겨 … 2분기 영업익만 12조5천억원 모바일·TV·가전도 고루 약진 … 낸드플래시 값 2분기 강세 전환
삼성전자가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2분기에 영업이익 12조5700억원, 매출 63조6700억원의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했다. 1분기에 부진했던 반도체가 살아나고 스마트폰과 TV·가전이 선전한 덕분이다.
삼성전자는 2분기 경영실적(연결 기준)을 집계한 결과 매출 63조6716억원, 영업이익 12조5667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2분기(매출 53조원, 영업이익 8조1500억원)에 비해 매출은 20.21%, 영업이익은 54.26% 증가한 것이다. 순이익은 9조6345억원으로 73.44% 늘었다.
2분기 영업이익은 1분기(9조3800억원)보다 3조원 넘게 많아졌다. 반도체 초호황기였던 2018년 3분기(17조5700억원) 이후 11분기 만에 가장 큰 규모다. 매출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60조원을 넘는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리면서 상반기 매출도 역대 최대인 128조원을 넘어섰다.
1분기에 부진했던 반도체가 살아났다.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6조9300억원으로 1분기(3조4000억원)의 두 배를 넘어섰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대면 수요가 이어지며 PC용 반도체 판매가 양호했고, 클라우드 기업들의 데이터센터용 서버 수요가 살아나면서 D램 가격이 강세를 보였다. 낸드플래시 가격도 예상보다 빠른 2분기부터 강세로 돌아섰다.
1분기 갤럭시 S21 조기 출시로 4조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모바일(IM) 부문은 2분기에는 신제품 출시 효과가 사라지며 영업이익도 3조2400억원으로 축소됐다. 인도·베트남 등지의 코로나19 확산으로 수요가 줄고 생산에 차질을 빚었다. 그래도 원가 구조를 개선하고 마케팅을 효율화함으로써 지난해보다 양호한 실적을 냈다.
소비자 가전(CE)은 TV와 비스포크 시리즈 등 생활가전 부문이 선전하면서 1조6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미니 LED 제품인 네오(Neo) QLED TV 등 프리미엄 TV가 잘 팔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