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뻥이요' 상표 모방에 유죄 판결
의정부지법 "인지도 높은 상표에 고의성 인정된다" 치즈 과자 등에 "뻥이야" 붙인 업체대표에 실형 선고
유명 과자 '뻥이요'를 연상시키는 '뻥이야'를 제조·판매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업체 대표에게 징역형이 선고됐다.
의정부지법 형사1부(이현경 부장판사)는 28일 상표법 위반과 부정경쟁 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A업체 대표 B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원심을 깨고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피해 상품을 모방하려는 고의를 갖고 범행했다. 피해 회사는 상품의 인지도와 매출 규모 등에 비추어 직·간접적인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판결했다.
원심은 B씨에게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면서 사회봉사 80시간을 명령했었다. A업체도 원심에서 벌금 1500만원을 선고받았다가 항소심에서 벌금 1200만원으로 줄었다.
법원에 따르면 B씨는 2019년 4월과 5월 자신이 운영하는 A업체에서 '허니 뻥이야'와 '치즈 뻥이야' 등 6300만원 상당을 제조해 베트남에 수출했다. 두 제품 모두 ㈜서울식품공업의 '허니 뻥이요' '뻥이요 치즈'와 흡사하다.
서울식품공업은 1982년부터 '뻥이요'를 생산, 판매했으며 상표 등록도 마쳤다. 이후 다양한 맛을 선보이며 인기를 끌어 연간 매출액이 100억원에 이른다.
베트남 업체는 B씨에게 '뻥이요'와 95% 정도 유사한 포장지를 사용해 과자류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고, B씨는 의뢰받은 대로 '뻥이야'를 제조해 수출했다. 서울식품공업은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에 조사를 신청했고, '상표권을 침해한 불공정 무역행위에 해당한다'는 판정을 받았다.
A업체와 B씨는 상표법 위반 등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1심인 의정부지법 고양지원은 지난해 4월 A업체와 B씨에게 각각 벌금과 징역형을 선고했다. A업체와 B씨는 판결에 불복, 법리 오해와 양형 부당을 이유로 항소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B씨가 피해 회사로부터 이의 제기를 받은 뒤 상표권 침해 행위를 중단하고 포장지와 해당 인쇄 동판을 폐기한 점, 무역위원회 의결에 따라 과징금을 낸 점 등을 고려해 일부 감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