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정상 이륙'에 1조7천억 지원
채권단이 아시아나항공의 정상화를 위해 총 1조73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 중 1조6000억원은 아시아나항공에 직접 지원하고, 나머지 1300억원은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지주회사 격인 금호고속에 주기로 했다.
산업은행은 이런 내용을 담은 아시아나항공 금융지원 방안을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채권단은 우선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하는 5000억원 규모의 영구채를 사들여 재무구조 개선과 유동성 확보를 지원한다. 영구채는 유사시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사채(CB) 형태다. 채권단이 사들인 영구채를 출자로 전환하면 아시아나항공의 지분을 30%가량 보유할 수 있다.
이 지분은 아시아나항공의 인수·합병(M&A)이 무산될 경우 채권단이 추후 매각을 주도할 수 있는 레버리지가 된다.
채권단은 한도대출(크레딧 라인)로 8000억원, 보증한도(Stand-by L/C)로 3000억원을 지원한다. 이는 아시아나항공이 필요할 경우 빼다 쓰고 갚을 수 있는 마이너스 통장 개념의 대출이다. 아시아나항공 M&A 기간 경영불안을 해소하고 항공기 운항 차질을 방지하기 위해 신용공여 방식으로 대출하기로 했다고 산업은행은 설명했다. 1조6000억 규모의 아시아나항공 지원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7대 3 비율로 부담한다.
채권단은 아울러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전제로 금호고속에 브릿지론 형태로 1300억원을 지원한다. 매각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지배구조는 박삼구 전 회장→금호고속→금호산업→아시아나항공 순으로 이어진다. 박 전 회장 측이 대주주인 금호고속은 금호산업의 지분 45.3%를 담보로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았다. 금호고속이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지배구조가 흔들려 매각 주체가 모호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채권단은 금호고속에 이 자금을 지원해 오는 25일 만기가 돌아오는 대출 1300억원을 갚게 하고, 금호고속의 금호산업 지분을 담보로 잡을 계획이다. 채권단은 늦어도 내일까지 금호 측과 특별약정을 체결하고 이르면 다음 주께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