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앱 장터 수수료를 낮추기로
年11억원 이하 매출에 당초 30% 물리기로 했으나 15%로 국내IT업계 반발과 국회의 입점강요 금지법 추진에 물러서
'수수료 갑질' 논란을 빚어온 구글이 30%인 앱 장터 수수료를 일부 매출 구간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 당초 구글은 올 하반기부터 국내 모든 앱개발사에 대해 수수료를 30% 일괄 부과할 예정이었다. 정보기술(IT)업계가 반발하고, 국회가 앱장터 입점 강요를 금지하는 법안 마련을 추진하자 수수료를 낮춘 것이다.
구글코리아는 1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들에게 이런 내용의 수수료 인하 계획을 설명했다. 구글은 구글플레이에서 발생하는 매출 연 100만 달러(11억3500만원)까지는 수수료를 절반으로 인하하고, 그 이상에 대해선 기존 수수료율 30%를 적용하는 안을 제시했다. 새로운 수수료률 적용 시점은 오는 7월 1일이다.
구글은 원래 현금 거래가 많은 게임 등 일부 앱을 제외하곤 자사 앱 장터에서 수수료를 받지 않았다. 그런데 지난해 9월 "모든 앱에 구글의 결제 시스템 사용을 의무화하겠다"며 결제액의 30%를 수수료로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구글 앱장터는 국내 앱 장터 시장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 구글은 당초 지난 1월부터 신규 앱에 수수료 30%를 부과하려다가 업계의 반발이 거세자 9월 이후로 시행을 미룬 상태였다.
경쟁사인 애플은 자사 앱 장터에서 연매출 100만달러 이하 중소 개발사에 대해서는 15%의 수수료를, 100만달러가 넘는 회사에게는 30%의 수수료를 받고 있다.
구글은 "수수료 정책은 구글이 지금까지 유지해온 오픈 소스 플랫폼 모델을 가능하게 한 선순환 구조의 핵심"이라며 "한국 개발사들이 앞으로도 구글플레이를 통해 세계 300여개국 10억명이 넘는 이용자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알려 세계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