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넘는 통장' 뭉칫돈 예금총액 565조원
저축성 예금 증가율의 두배 달해… 기업들 투자처 못찾아 실탄 비축 영향인듯
지난해 은행의 저축성예금 가운데 잔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고액 계좌 규모가 8년 만에 최대 폭으로 불어났다. 가계 보다 기업 보유가 많은 고액 예금의 급증세는 기업들이 투자에 나서기보다 현금 유동성을 쌓아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은행의 저축성예금(정기 예·적금, 기업자유예금, 저축예금) 중 잔액이 10억원을 넘는 계좌의 총예금은 565조794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66조650억원 늘어남으로써 증가 폭이 2010년(79조4220억원)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증가율도 13.3%로 8년 만에 가장 높았다. 전체 저축성예금 증가율(7.3%)의 두 배에 육박한다.
10억 초과 고액 계좌는 최근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015년 9.2%, 2016년 7.0%, 2017년 7.2%였던 증가율이 지난해 두 자릿수로 높아졌다. 다른 규모의 예금과 비교해도 증가율이 높은 편이다. 지난해 1억원 이하 계좌의 증가율은 2.5%, 1억원 초과∼5억원 이하는 2.2%,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는 2.3%에 머물렀다.
10억원 초과 저축성예금 계좌 수는 지난해 말 기준 6만7000개로 전년보다 5000개 늘었다.
고액 예금은 가계보다는 기업을 중심으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 고액 예금이 큰 폭으로 불어나며 10억원 이상 저축성예금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는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기보다 경영위기 등에 대비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해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설비투자는 전년보다 4.2% 줄어들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9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