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창흠 국토 후보자"빌라 밀집지 공공개발 추진"
저밀도 역세권 포함해 양질의 주택공급 확대키로 온라인 기자간담회서 "서울을뉴욕처럼 개발"피력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수도권의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빌라 밀집지역의 공공개발을 통해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학자 시절부터 강조해온 공공자가주택, 즉 토지임대부 주택과 환매조건부 주택을 도입할 의사도 내비쳤다.
변창흠 후보자는 18일 국토부 출입기자단과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현재의 주택난에 대해 "수도권 주택 공급량 자체는 충분하지만 국민은 좀 더 나은 환경과 더 넓고 삶의 질을 갖춘 주택을 원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도심 내에서도 질 좋고 부담 가능한 주택을 지속적이고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면서 지하철역 주변인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빌라 밀집지역 등을 거론했다.
변 후보자는 역세권에 대해 "서울에는 307개 지하철역이 있는데, 역 인근의 평균 용적률은 160% 수준으로 저밀 개발돼 있다"며 역세권 고밀개발에 대한 의지를 확인했다. 그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 재직 시절부터 도심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역세권 고밀 방안을 주장해왔다.
변 후보자는 서울 준공업지역에 대해선 "분당신도시와 비슷한 20㎢ 규모로 개발 여건은 충분하다"면서 "4차 산업혁명 전환에 맞춰 혁신공간과 함께 주택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가구·다세대 등 빌라가 밀집한 서울 저층 주거지는 111㎢로, 이를 중층 고밀주택으로 개발하면 충분한 양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변 후보자는 이를 위해 적극적인 규제완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저층 주거지에 대해 도시계획과 건축규제를 완화한다면 주택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변 후보자는 "그동안 여러 규제가 주택공급을 제약해왔다"며 "저층 주거지에서 주차장과 도로, 일조권 등 현 수준의 각종 규제를 그대로 적용하면 절반 이상의 기존 주택이 현재 규모로도 다시 지을 수 없게 된다"라고 지적했다.
변 후보자는 "이런 규제를 주민 삶의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고 새로운 도시재생 사업 모델을 도입하면 저렴한 주택공급을 확대하고 삶의 질을 풍부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LH 등 공공이 개발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개발이익은 토지주와 세입자 등에게 적정 수준으로 배분하는 '공공 디벨로퍼' 역할과 개발이익은 사회와 공유해야 한다는 평소 철학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프랑스 파리의 도심 내 철도역을 지하화하고 개발한 신도시 '리브 고슈'와 미국 뉴욕 맨해튼 신주거지 '허드슨 야드'를 사례로 꼽았다.
변 후보자는 재개발과 재건축 등 공공 정비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도입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재개발이나 재건축 사업에 지자체의 도시계획·도시관리상 높이규제 등 여러 규제가 작용해 사업이 지연된 것은 사실"이라며 "공공 참여와 순환용 임대주택 건설 등을 통해 이런 규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 자가주택에 대해선 "분양과 임대 두 형태의 주택으로는 모든 수요를 맞추기 어렵다"며 적극 도입할 의사를 밝혔다. 그는 "분양주택은 높은 가격 때문에 사기 어렵고, 임대주택은 엄격한 입주요건 때문에 입주하기 어려운 계층이 있다"라며 "전세금 정도만 갖고 내 집 마련을 하려거나 대출규제 등으로 주택 매입시장에 진입하지 못한 계층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공공 자가주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