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코로나'에 경제 손상 가장 덜 취약"
英이코노미스트誌분석…한국 다음은 호주·독일·중국順 취약성 평가기준, 경제구조ㆍ 국내총생산 증가율등 31개 선진국 중에서는 영국,스페인,프랑스 경제 회복 지연 전망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장기 경제적 손상에 한국이 가장 덜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 다음으로 호주와 독일, 중국, 스웨덴, 미국, 브라질 등이 덜 취약한 것으로 예측됐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15일(현지시간) 경제 분석기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모델을 이용해 코로나19로 인한 각국의 장기 경제 손상 정도를 전망했다. 에볼라와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2007∼2009 금융위기 등 과거 경험을 통해 경제적 취약성을 평가하는 31개 기준을 만들었다. 여기에는 경제구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소비자 신뢰 등이 포함됐다.
코로나19 장기 취약성을 0에서 10까지 지수화한 결과 한국은 3점으로 평가대상 국가 중 가장 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볼 때 신흥시장 국가들이 선진국에 비해 장기적으로 더 경제적 손상을 겪을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성장률 감소폭은 선진국이 더 크지만, 노동시장이나 재정지원 측면에서 신흥시장 국가들이 더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설명했다.
신흥시장 국가 간에도 명암이 엇갈린다. 필리핀과 인도의 경우 중국이나 브라질에 비해 경제 전망이 어두운 것으로 예측됐다. 필리핀의 경우 조사 대상 국가 중 코로나19에 따른 장기 경제적 손상에 가장 취약한 나라로 분석됐다. 이는 높은 실업률과 숙련인력 부족, 관광산업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 때문으로 지적됐다.
선진국 중에서는 영국과 스페인, 프랑스가 호주나 스웨덴, 미국에 비해 경제 회복에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됐다. 지역별로 보면 중동과 남아메리카의 회복 전망이 가장 어두웠고, 아프리카가 뒤를 이었다. 북아메리카는 상대적으로 적은 GDP 감소, 강력한 부양 패키지 등에 힘입어 가장 덜 취약한 지역으로 평가됐다.
유럽 내에서도 희비가 엇갈렸다. 프랑스는 낮은 GDP 증가율과 소비자 신뢰도로 인해 취약한 국가 중 하나로 꼽혔다. 이와 달리 독일은 두 개 항목 모두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