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 추락 속도 심상치 않다?
2분기 실질 GDP 성장률 전 분기 대비 7.8% 역성장 연률로 환산하면 27.8% 줄어 … 사상 최악의 성적
일본 경제가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가 선포됐던 올해 2분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이상의 충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내각부는 17일 물가 변동을 제외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이 전 분기 대비 7.8% 줄면서 3분기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이런 추세가 1년 지속하는 것으로 보고 추산한 연간 실질 GDP 성장률은 –27.8%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17.8%)보다 나쁜 것으로 관련 통계를 역산할 수 있는 1955년 이후 최대 폭의 역성장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7일 도쿄와 오사카 등 확진자가 많이 나온 7개 광역 지자체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1차 긴급사태를 선포한 뒤 전국으로 확대했다가 5월 25일 모두 해제했다. 이에 따라 외출과 여행 등 대외활동을 억제하는 긴급사태 발효 기간이 2분기와 맞물려 GDP 역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영역별로 GDP 기여도가 가장 큰 개인소비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외출 자제 등 여파로 전분기 대비 8.2% 급감했다. 긴급사태 발효에 따른 외출과 영업 자숙의 영향으로 여행과 외식 등 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소비가 줄었다.
기업 설비투자는 1.5% 감소하며 2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수출은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18.5% 격감했고, 수입은 원유 수요 둔화로 0.5% 줄었다. 주택 투자도 0.2% 줄면서 3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공공투자는 1.2%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늘고 있지만, 긴급사태로 대응하지 않는 3분기에는 성장세가 어느 정도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