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전 "우리는 한국은행 직원이 된 것에 감격"
1950년 韓銀 창립 선서문에는 중앙은행 직원의 자부심 엿보여 한국은행법 제정 발자취 엮은 역사집 12일부터 일반에 공개키로 금통위의 통화ㆍ신용ㆍ외환 정책 권한 놓고 위헌논란 곡절 겪어
한국은행은 창립·한국은행법 제정 70주년을 기념해 '한국은행법 제정사'를 발간한다고 9일 밝혔다. 이 책은 한문·일문·영문 등 총 112건의 원문 자료를 수록한 한은법 제정 자료집(2015년)과 이를 번역한 한글본 자료집(2018년)을 기초로 쓰였다.
한국은행법 제정사를 보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 '통화, 신용, 외환에 관한 정책의 수립' 기능을 주는 것이 헌법에 위배된다는 위헌론이 제기돼 국회에서의 법안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일었던 일화가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1950년 한국은행법 제정안은 정부와 국회 심의 과정에서 위헌론에 부닥쳤다. 금통위에 통화, 신용, 외환에 관한 정책의 수립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국가의 기본적 계획과 정책 수립 권한을 행정부에 준 헌법과 정부조직법에 어긋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에서 격론이 벌어진 가운데 당시 김도연 재무부장관은 한국은행법이 법제처에서도 헌법이나 정부조직법에 저촉되는 점이 없도록 확실히 심사됐다고 설명했다. 이후 제정 법안은 표결을 거쳐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고, 같은 해 5월 시행됐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은행제도 도입을 추진한 우리나라는 대한제국 시절 통화 주권을 일본에 빼앗기는 등 아픔을 겪은 뒤 1950년 중앙은행을 설립할 수 있었다.
한은은 이달 중 정부 유관기관과 주요 도서관에 한국은행법 제정사 책을 배포한다. 전자책으로도 발간돼 12일 이후 누구나 무료로 한은 누리집(http://www.bok.or.kr)이나 한은 전자도서관(http://dl.bok.or.kr)에서 볼 수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발간사에서 "이 책이 단순히 과거의 역사 연구에만 머무르지 않고 향후 중앙은행 제도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영감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길잡이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